보은의지명

HOME > 향토사료집 > 보은의지명

내속리면(內俗離面)

삼가리(三街里)

1. 위치

면적 8.27㎢, 인구 51가구 126명(1999년말). 면 소재지로부터 10㎞ 지점인 면의 동남쪽에 위치하며 동은 경북(慶北) 상주시(尙州市) 화남면(和南面), 서는 갈목리(葛目里), 남은 구병리(九屛里), 북은 대목리(大目里)에 접하고 있다.


2. 연혁

본래 보은군 속리면의 지역으로서 경상도(慶尙道) 상주(尙州) 문경(聞慶)으로 통하는 세갈래 길이 있으므로 삼거리라 하였는데 1914년 행정구역 폐합에 따라 불목이(佛目理), 멍어목이(駕項), 대밭말(竹田)을 병합하여 삼가리(三街里)라 하였으므로 1947년 속리면이 분할됨에 따라 내속리면에 편입되었다.


3. 자연마을

  • 대밭-말(竹田)[마을] 삼거리 동남쪽에 있는 마을. 대밭골 입구에 있으며 조리대나무가 많았다 한다. 삼가 2리에 으뜸되는 마을로 삼가초등학교가 있었다.
  • 멍어목-이(駕項)[마을] 대밭말 동남쪽에 있는 마을. 골짜기 지형을 소로 볼 때 멍에에 해당된다고 함. 보은 8경에 하나가 됨
  • 삼거리(三街里)[마을] 삼가저수지가 북쪽에 있는 마을. 삼가1리의 중심되는 마을로 명장 임경업(林慶業)장군이 속리산에서 무예를 닦을 때 이 마을 뒷산인 형제봉에서 마을을 바라보니 오얏꽃이 장관을 이루고 있으므로 ‘이화동(梨花洞)’이라 불러 이름이 되었는데 그 뒤 금강 상류인 냇물이 속리산 굽이 굽이에서 발원하는데 천황봉에서 발원된 만수천, 인자바위에서 발원한 대목천 그리고 상주시 화서면에서 발원하는 동관천이 이 마을에서 합수되므로 ‘삼계촌(三溪村)’이라 고쳐 부르기도 하였다. 1914년 대목, 묘박, 구병리로 통하는 길목이라 하여 삼가리라 하였다.

4. 기타지명

  • 각씨-터[터] 멍어목이 서남쪽 구병산 자락에 있는 터. 평평한 것이 수천평 정도 되는데 여자가 누워있는 형상이라고 함.
  • 개-바우[바위] 멍어목이 남쪽 100m 지점에 있는 바위. 50여명이 피할 수 있는 석굴이 있음. 전에는 ‘안장바우’라고 부르다가 개의 형태를 하고 있다 하여 지금은 ‘개바우’라 부름
  • 건영-골[골] 대밭말 서쪽에 있는 골짜기.
  • 깃대-봉[산] 멍어목이 남쪽에 있는 산. 일제시대 측량할 때 깃대를 꼿은 적이 있음.
  • 깊은-골[골] 대밭말 동쪽 동관리 가는 길목 북쪽에 있는 골짜기.
  • 노루-골[골] 멍어목이 남쪽 구병리 가는 길목에 있는 골짜기.
  • 대밭-골[골] 대밭말 서쪽에 있는 골짜기. 조리대가 많이 자라고 있으며 위쪽은 ‘큰대밭골’아래쪽은 ‘작은대밭골’이라 부름
  • 범바우-골[골] 6.25때 피난민들이 기거하였던 곳. 바위가 밤같이 둥글둥글한 모양으로 생겼다 함.
  • 백황소-재[고개] 멍어목이에서 상주시화서면 동관리 갈골로 넘어가는 고개. 전에 화령장을 보러 다닐 때 이 고개를 이용하였다 함.
  • 불목-골[골] 삼거리 서쪽에 있는 골짜기. 불목이로 가는 입구가 됨.
  • 불-목이(佛目里)[터] 삼거리 서북쪽에 있는 마을터. 산형이 부처의 눈처럼 생겼다고 함. 마을이 있었으나 화전정리때 이주하였다.
  • 산넘어-골[골] 삼거리 서쪽 작은고개 너머에 있는 골짜기.
  • 삼거-저수지(三巨貯水池)[저수지] 삼거리 남쪽에 있는 저수지. 1962년 준공된 저수지로 저수면적 120정 몽리면적 1190정으로 충북도내의 규모가 두 번째임. 삼거리 마을은 이 저수지 건설로 이전한 마을임.
  • 삼정-골[골] 삼가 서북쪽 불목이 아래에 있는 골짜기.
  • 송장-골[골] 대밭말 서쪽에 있는 골짜기.
  • 수구[당] 대밭말과 멍어목이 사이 중간에 있는 성황당. 전에는 나무로 만든 장승이 서 있었으나 지금은 없어지고 돌로 모아 만든 탑만 있어 ‘탑거리’라고도 부르고 있음.
  • 수리-봉[산] 멍어목이 동쪽에 있는 산. 산세가 매우 험하다고 함.
  • 신배나무-골[골] 삼거리 북쪽에 있는 골짜기.
  • 신선-대(神仙臺)[바위] 멍어목이 남쪽에 있는 바위. 옛날에 마을 사람들이 신선대로 나무하러 갔다가 바위위에서 신선들이 바둑을 두는 것을 한판 구경하고 나니 짚고 있던 도끼자루가 썩어 있었다 함.
  • 신제-궁[골] 삼거리 동쪽 만수리 입구에 있는 골짜기. 신씨의 제궁터가 있었다고 함.
  • 쌀개-바우[바위] 멍어목이 남쪽 각씨터에 있는 바위. 방아 쌀개처럼 생겼다 함.
  • 아도산-골[골] 멍어목이 동쪽 동관리 길목 남쪽에 있는 골짜기. 아래쪽은 ‘작은아도산골’ 위쪽은 ‘큰아도산골’이라 부름
  • 아랫-골[골] 삼거리북쪽에 있는 골짜기.
  • 안장-바우[바위] -> 개바우
  • 약물-탕(藥水)[샘] 멍어목이 남쪽 개바위 아래에 있는 석굴에서 나오는 약수. 위장병에 효험이 있다고 함.
  • 양생원-집터[버덩] 멍어목이 남쪽 구병산 중턱에 있는 버덩. 양생원이 집을 짓고 공부하던 곳이라 함.
  • 우각-봉(牛角峯)[산] 멍어목이 남쪽에 있는 산. 지형을 소로 볼 때 뿔에 해당한다고 함.
  • 은정-골(溫丼谷)[골] 멍어목이 남쪽 구병산에 있는 골짜기. 골짜기 안이 따뜻하며 눈이 와도 바로 녹아버리고 나무하러 갔다가 도시락을 놓아 두면 따뜻하게 데워진다고 함. ‘온정골(온정골)’이라 하던 것이 변하여 ‘은정골’이 되었음. 온천이 있다고 믿고 있음.
  • 인수정-들[들] 멍어목이 북쪽 동관리 길목에 있는 들.
  • 작은-고개[고개] 삼거리 서쪽에 있는 고개. 현재 국립공원 매표소가있음. 1958년 삼거리 저수지 침수구역으로 확정된 후 일부 이재민들이 마을을 이 부근에 신설하였다가 1970년대 독립가옥 정리시 폐촌이 되었다.
  • 질마-재[고개] 멍어목이에서 만수리로 넘어가는 고개, 지형이 소에 질마를 얹은 형국이라 함.
  • 탑-거리(塔- )[거리] -> 수구
  • 핑경-바우[바위] 멍어목이 남쪽 우각봉 아래에 있는 바위. 지형을 소로 볼 때 목에 달린 풍경에 해당한다고 함.
  • 합수-둠벙[둠벙] 멍어목이 북쪽 냇물에 있는 둠벙. 동관천과 구병천이 합수되는 곳에 있음.
  • 황층-너덜[너설] 멍어목이 남서쪽 구병산 아래에 있는 너설. 황충이란 장사가 구병산에 있으면서 경상도 화북면 산성에 진을 치고 있던 견훤과 전쟁을 하였는데 화살이 멍어목이 앞들에 떨어졌다고 함. 그래서 마을 사람들이 그곳에서 화살촉을 주워 농기구를 만들어 사용하였다고 함.

5. 문화유적

  • 구장오공복원기념비(區長吳工復元記念碑)
    1915년 삼가1리 구장으로 재직한 공적을 기념하기 위하여 세움.
  • 군수채동환영세불망비(郡守蔡東煥永世不忘碑)
    갈목고개길 확장 개통한 공적을 기리기 위하여 1966년에 세움.
  • 육성회장 이복규송덕비(育成會長 李復圭頌德碑)
    삼가초등학교 육성회장 재직중 공적을 기리기 위하여 1979년 세움.
  • 민속
    산제 : 매년 정월에 택일하여 멍어목이에 있는 수구와 초등학교 뒤편에 있는 산제당에서산제를 거행하고 있음

6. 산업

고추, 감자, 엇갈이무, 배


7. 기타

1995년 삼거리 마을앞 도로변에 마을 자랑비를 세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