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수한면
- 거현리
- 광촌리
- 교암리
- 노성리
- 동정리
- 묘서리
- 발산리
- 병원리
- 산척리
- 성리
- 소계리
- 오정리
- 율산리
- 장선리
- 질신리
- 차정리
- 후평리
수한면(水汗面)
1. 위치
면적 48.76㎢ 인구 889호 2526명(1999년말). 본군의 남서부에 위치하고, 동은 보은읍(報恩邑)과 삼승면(三升面), 서는 회남면(懷南面)과 회북면(懷北面), 남은 옥천군 안내면(沃川郡 安內面)에 접하고 있다.
2. 연혁
본래 보은군의 지역으로서 사질양토이기 때문에 비가 와도 항상 물이 귀하므로 수한면이라 하여 후평(後坪), 와야(瓦冶), 운천(云川), 발산(鉢山), 교암(敎岩), 거묵(巨墨), 병원(並院), 성리(星里), 소계(소溪), 말관(末串), 묘북(묘北), 중리(中里), 거현(巨峴), 거신(巨新), 문치(門峙), 광촌(光村), 양기(良基), 질신(秩新), 질관(秩串), 장선(長善), 궁기(弓基), 오정(梧亭), 평포(坪浦), 은로(隱路), 산척(山尺)의 27개 등리를 관할하다가 1914년 행정구역 폐합에 따라 회인군의 동면의 차령(車嶺), 산척(山尺)의 일부를 병합하여 후평, 발산, 교암, 병원, 성리, 소계, 묘서, 거현, 광촌, 질신, 장선, 오정, 동정, 산척의 14개 리로 개편 관할하였는데, 1964년 2월 1일 지방행정구역 변경에 의하여 회북면의 차정리(차井里)를 병합하여 15개 리가 되었다가 1983년 2월 15일 회북면 율산리(栗山里)를 병합하여 16개 리로 되었고, 1987년 1월 1일 회남면 노성리(老城里)를 병합하여 오늘날 병원(並院), 교암(敎岩), 후평(後坪), 발산(鉢山), 성리(星里), 소계(소溪), 묘서(묘西), 거현(巨峴), 광촌(光村), 질신(秩新), 장선(長善), 오정(梧亭), 차정(차井), 동정(동井), 산척(山尺), 율산(栗山), 노성리(老城里)의 17개 리를 관장하고 있다.
3. 자연
지형은 해발 398m의 항건산(恒乾山)을 비롯하여 전역이 400m이내의 산지를 이루고 있으며, 골짜기의 높낮이에 따라 소규모의 곡저(谷底) 충적지(沖積地)로 형성되어 있다.
4. 산업
논이 550.5㏊, 밭 507㏊, 임야가 3386㏊의 산지를 이루고 있으며, 쌀농사를 비롯하여 고추, 담배, 채소농사를 짓고 있었으나 오늘에 와서 후평리에는 고등채소 단지를 이루고 있다.
5. 교육・문화
수한면에는 각 기관들이 사방으로 흩어져 있어 면민들이 민원을 함에 있어 불편한 점이 말 할 수 없게 되어 있으나 모두가 부락민들의 이기심에서 연우되었다고 해도 과연이 아니나 지형적으로도 불가피한 면도 없지 않다. 수한초등과 동정초등학교가 있었으나 동정은 폐교되어 수한학교로 통합하게 되어 있으나, 아동수 격감으로 존립의 위기에 처해 있다.
거현리(巨峴里)
1. 위치
면적 4.2㎢, 75가구 198명(1999년말), 본면의 남쪽에 위치하며, 동은 삼승면(三升面), 서남은 옥천군(沃川郡), 북은 광촌리(光村里)와 묘서리(묘西里)에 접하고 있다.
2. 연혁
본래 보은군 수한면의 지역으로서 큰고개가 있다하여 거리고개, 또는 거현(거현)이라 하였는데 1914년 행정구역 폐합에 따라 거신리와 문티리를 병합하여 거현리라 하였다.
3. 자연마을
- 거신(巨新):새터마을
- 거현(巨峴):옥천군 동대리로 넘어가는 쓰리재가 험하고 높고 크다하여 거리고개 도는 거현 이라 하였음.
- 문티(c):문티재 아래에 있는 마을
- 상문티 마을:문티 위쪽에 있는 마을
- 새터:거리고개 동북쪽에 있는 새로 된 마을
- 하문티:문티 아래쪽에 있는 마을
- 호동마을:새터 서쪽에 있는 골. 범이 많이 나왔다고 해서 ‘범막골’ 또는 ‘호동’이라고 함.
4. 기타지명
- 감나무골:안말 서쪽에 있는 골짜기로 감이 많이 생산됨.
- 대차골:거리고개 동족의 골짜기로 큰 물레방아가 있었다고 함.
- 덕고개:대차골 동북쪽에 있는 들, 삼승면 선곡으로 넘어가는 고개로 성황당이 있는데 성황당에 기원하면 덕을 얻는다고 함.
- 덕대산(德大山):거신 서남쪽에 있는 산으로 세 봉우리를 이루고 있는 산으로 삼승면 금적산으로 연결된 산봉우리로 절경임.
- 동진휴게소:보은군과 옥천군의 경계 문티령에 자리한 휴게소로 동쪽에 있는 속리산이 하늘 아래에 보이는데 아침 해돋이 모습이 절경을 이뤄 바다 위에서 해돋이 모습을 이룬다.
- 문티벌:상문티 남쪽에 있는 버덩.
- 문티재(門峙재):상문티에서 옥천군 안내면 동대리 가래티로 넘어가는 고개.
- 벼락쟁이 바우:안말 남쪽에 있는 골짜기. 청바위 동산에 벼락이 쳐 바위가 무너졌다고 함.
- 병막골:거리고개 서남족에 있는 골짜기는 높은 산이 마을 앞을 가로막아 햇빛을 막았다고 해서 병막골.
- 보아지들:거리고개 북쪽에 있는 들로 보가 많았다고 함.
- 쓰리재:거리고개에서 옥천군 안내면 동대리로 넘어가는 재.
- 여우골:새터 서북쪽에 있는 골짜기로 여우가 많이 나왔다함.
- 진설미:새터 동북쪽에 있는 들로서 길다란 산 안에 들어있는 들이라 하여 진산미라 불려오다 진설미가 됨.
- 참샘골:거리고개 서쪽이 되며, 덕대산 밑으로 찬 샘이 있음.
- 큰골:병막골 북쪽에 있는 큰 골짜기.
- 하골:대차골 동쪽에 있는 골짜기.
광촌리(光村里)
1. 위치
면적 1.9㎢, 36가구 101명(1999년말). 본면의 남쪽에 위치하며, 동은 묘서리(묘西里), 서는 옥천군(沃川郡), 남은 거현리(巨峴里), 북쪽은 성리(星里)에 접하고 있다.
2. 연혁
본래 보은군 수한면 지역으로서 어리광이 또는 어류광, 광촌이라고도 하였는데, 1914년 행정구역 폐합에 따라 양기리(良基里)를 병합하여 광촌리라 하였다.
3. 자연마을
- 광촌(어루광이, 魚遊江):옛날 마을 앞에 큰 연못이 있었는데, 연못에 고기가 많았다는 설과, 최원용(58)의 15대조 묘소가 고기가 놀고 있는 혈맥이라하여 江자를 붙어 마을 이름을 어유강(魚遊江)으로 불리웠다고 고증함.
- 안터 마을:아랫말 서쪽에 있는 마을로 편안하고 온순한 주민들이 모여 살고 있는 곳이라고 전해 옴.
- 양기동(良基洞):양터골 마을로 어유강 남쪽에 있으며, 사방이 산으로 둘러 싸여 있어 따뜻하고 토질이 좋다고 함.
- 재실:아랫말 서남쪽에 있는 마을로 화순 최씨 문중의 재실이 있음.
4. 기타지명
- 갈골:아랫말 동쪽에 있는 골짜기
- 동막골:어유강 서북쪽에 있는 골짜기로 옛날에 외딴 동막이 설치되어 있었다고 함.
- 먹뱅이골:아래 양터골 동쪽에 잇는 골짜기가 음침하고 캄캄하다고 해서 먹뱅이가 됨.
- 목골:양터골 동남쪽에 있는 골자기로 연못이 있었다고 함.
- 목골재:양터골에서 거현리 하문티로 넘어가는 고개.
- 문둥이집골:아랫말 동쪽에 있는 골짜기에 문둥이가 살았다고 함.
- 벼락쟁이:양터골 남쪽 골짜기로 벼락을 맞은 것이 있었다 함.
- 분터골:양터골 서쪽에 있는 골짜기로 토기점이 있었음.
- 비들목재:어유강에서 질신리 질구지로 넘어가는 고개가 비둘기 목의 형상을 하고 있다고 함.
- 새남터:양터골 동쪽, 광촌리 남쪽에 있는 골짜기
- 아래고개:새터에서 신추리 가래울로 넘어가는 고개
- 안짜리들:구만이 들 동쪽에 있는 들녘
- 큰 바위:벼락쟁이 중턱에 있는 큰 바위로 소리를 지르면 메아리가 되돌아 올 정도로 바위가 크다고 함.
5. 문화유적
- 최흥림 묘비(崔興霖 墓碑)
조선 명종 때 학자였던 화순인(和順人) 계당(溪堂) 최흥림의 묘비로 비문은 안동 김원행이 짓고, 글씨는 광산 김상숙이 썼다. 1765년 영조 41년 가을에 건립하였다.
교암리(敎岩里)
1. 위치
면적 2.07㎢, 인구 58가구 162명(1999년말). 본면의 북쪽에 위치하며, 동은 발산리(鉢山里), 서는 오정리(梧亭里)), 남은 성리(星里), 북은 병원리(並院里)에 접하여 있다.
2. 연혁
본래 보은군 수한면의 지역으로서 세조(世祖)가 속리산에 행차하였을 때 이곳에 이르러 병풍바위를 가르키며 “참 큰 바위로다.”하였으므로 가르침바위 또는 교암(敎岩)이라 하였는데, 1914년 행정구역 폐합에 따라 거묵동(巨墨洞)을 병합하여 교암리라 하였다.
3. 자연마을
- 거목-골(巨墨洞):교암 서쪽에 있는 마을. 우암 송시열(宋時烈)선생의 아우인 세한재 송시도(宋時燾)의 장례를 지낼 때 많은 사람들이 수레를 타고 왔다하여 거마동(車馬洞)이라 하던 것이 거먹골로 변하였다 함.
- 교암(敎岩,가르침바우):세조가 속리산에 행차할 때 이 마을앞에 이르러 큰 바위를 가르키며 가르침바우라 하였다고 함.
- 새-터:가르침바우. 서쪽에 새로된 마을. 봇물을 대서 농사를 짓는 들이라 하여 보뜰이라고도 부름.
4. 기타지명
- 가르침바위(敎岩):교암 입구에 있던 바위로 크고 넓어 그 위에 정자를 지어놓고 마을의 젊은이들을 가르쳤다 함. 1939년 도로확장공사로 없어졌음.
- 각골:거먹골 서쪽에 있는 골짜기. 모양이 뿔과 같이 생겼다 함.
- 감상골:잿들 동족에 있는 골짜기. 옛날에 마을이 있었는데 이 마을에 암생어사가 나왔다 하여 감사골이라 함.
- 거먹골 소류지:거먹골 남서쪽에 있는 못. 일제말엽에 조성됨.
- 마칠목:멱골 서쪽에 있는 골짜기. 여러 골짜기중 가장 끝에 있다고 함.
- 멱골:가르침바위 서쪽에 있는 골짜기. 골 모양이 고양이같이 생겨서 묘골이라고도 함.
- 모래재:멱골에서 동정리 감투봉 밑으로 넘어가는 고개. 풀이 없고 모래만 있다하여 모래재라 함.
- 바래미고개:가르침바위에서 발산리 바래미로 넘어가는 고개
- 병풍바우:가르침바위 북쪽에 있는 바위.세조께서 행차시 큰바위라 가르킨 바위로 병풍처럼 생겼다 함.
- 비리고개:거먹골에서 성리 비리로 가는 고개
- 속샴:동네 안에 있는 샘
- 승지골:지신터골 남쪽에 있는 골짜기. 승지골에 마을이 있었는데 그 곳에서 승지벼슬을 하였다 함.
- 은골:거먹골 남쪽에 잇는 골짜기. 토질이 기름져 농사가 잘된다고 함.
- 잿들:가르침바위 남쪽에 있는 들. 토질과 수원이 좋지 않아 해마다 농사가 잘 되지 않음.
- 줄골:각골 남쪽에 있는 골짜기. 골이 여러개 있어 줄골이라 함.
- 지신터골:각골 남쪽에 있는 골짜기. 잡초나 잡목이 우거진 곳이라 하여 짓은터골 또는 지신터골이라 함.
- 칠봉산(七峯山):교암뒤에 있는 산으로 봉우리가 일곱이라 함. 비가 오지 않으면 이 산에서 기우제를 지냈다고 함.
5. 문화유적
- 송시도 묘(宋時燾 墓)
우암(尤庵) 송시열(宋時烈)의 아우인 은진인(恩津人) 세한재(歲寒齋) 송시도의 묘로 묘갈은 송석주(宋奭周)가 짓고 후손인 치규(穉圭)가 쓰고 전한 것으로 1827년에 건립하였다.
6. 전설
- 가르침바우
수리티라는 마을에 수재라는 젊은이가 살고 있었다. 하루는 거리고개에 살고 있는 스승을 찾아가는 길에 이 바위 밑을 지나게 되었는데 바위 위에서 이상한 소리가 들려 올려다 보니 밧줄이 하나 내려와 있었다. 수재가 이 밧줄을 타고 올라가 보니 노인 둘이 띠를 짜고 있었다. 잠시 옆에 앉아 쉬고 있으려니까 그 노인이 “수재야 속히 가거라. 그래야만 스승을 만날 수 있으니라.”하고 호령하기에 일어나 내려 오려 하니 올라 올 때 잡았던 밧줄은 다 썩어 있었고 노인들이 다시 준 밧줄을 잡고 내려와 보니 밧줄도 노인도 종적없이 사라지고 바위만이 덩그렇게 남아 있었다. 그 후 이 바위가 사람을 가르쳤다 하여 가르침바위(敎岩)라 부르게 되었다고 한다.
o세조임금이 영월고을로 귀양보낸 어린 조카요, 선왕인 단종을 무참히 살해한 후 어느 날 용상에서 낮잠을 잘 때였다. 단종의 어미니요 형수인 현덕왕후(賢德王后-文宗의 )가 나타났다 사라졌다. 세조는 깜짝 놀라 깨어보니 가위를 눌린 것인데 전신이 땀에 흥건히 젖었다. 세조는 기분이 언짢아 가만히 앉아 있는데 맏아들인 도원대군(桃源大君.뒤에 德宗으로 추존된 成宗의 아버지)이 죽었다는 전갈이 왔다. 세조는 현덕왕후의 짓이라 믿고 즉시 현덕왕후의 능을 파헤치고 황후의 시신을 평민의 무덤같이 만들어 묻도록 하였다.
그날 저녁 세조는 꿈에 현덕왕후를 다시 만났는데 왕후는 눈을 흘기면서 세조에게 침을 뱉으며 사라졌다는 것이며 이튿날 침자욱이 곪기 시작하더니 날이 갈수록 온몸으로 퍼져 나갔다. 전의감(典醫監)을 통하여 좋다는 약과 의원을 총동원하여 갖은 치료를 다했으나 허사였다. 세조는 마침내 자신의 병이 약으로는 치료가 어렵다고 판단하고 부처의 힘으로 고쳐 볼 양으로 명산 대찰을 찾아보기로 결심하였다. 말하자면 피접(避接-앓는 사람이 장소를 바꾸어 요양하는 것)을 하기로 결심을 한 것인데 1464년(世祖 10年 甲)에 세조는 보은 속리산에 행차했다. 세조는 청주에서 피반령을 넘어 회인을 지나 다시 차령을 넘어 보은으로 왔다. 그 때 많은 일화를 남겼고 지금도 전해오고 있다.
세조가 지금의 보은군 수한면 교암리 앞을 통과할 때였다. 연(輦-임금의 타던 덩모양의 가마)안에서 지루함을 달래 길 없던 세조는 눈을 들어 길옆 냇가를 바라보며 가고 있었다. 그 때 장엄한 바위가 푸르슴한 냇물에 수려한 자태를 비추며 마치 일행을 맞아들이는 형태로 보였다. 그런데 그 바위를 보자 세조는 지난날 왕위를 빼앗고자 많은 충신을 참혹하게 처단한 일과 어린 조카를 살해한 일들이 머리에 주마등처럼 떠올라 자책감을 이길 수가 없었다. 세조는 행렬을 멈추게 한 후 바위 앞에 나가 참회의 눈물을 흘리며 바위를 어루만졌다.
그러자 바위는 세조의 모든 죄를 너그러이 용서해주고 부드럽게 감싸안는 듯이 세조에게 느껴졌다. 얼마를 그렇게 바위 앞에 서 있던 세조는 바위를 가르키면서
“이 바위는 하늘의 이치를 가르쳐 주는 바위다.”라고 말하며 그곳을 떠나 속리산으로 길을 재촉했다.
이 일이 있은 후부터 바위 이름을 “가르침바위(敎岩)”이라 부르게 되었다는데, 1939년 국도(청주~진해선)를 개설할 때 바위는 폭파되어 그 모습을 찾을 길 없고 가르침바위를 어원으로 한 마을인 교암리가 있을 뿐이다.
노성리(老城里)
1. 위치
면적 4.34㎢, 29가구 64명(1999년말). 본면의 동쪽에 위치하며, 동은 장선리(長善里)와 옥천군(沃川郡), 서는 회남면 조곡리(鳥谷里), 남은 회남면 은운리(隱蕓里), 북은 회북면에 접하고 있다.
2. 연혁
원래 회인군 동면의 지역으로서 노성산(老城山) 밑이 되므로 노성골, 노성동 또는 노성이라 하였는데 1914년 행정구역 폐합에 따라 옥천군 안내면용천 일부를 병합하여 노성리라하여 보은군 회남면에 편입되었다가 1987년 행정구역 개편으로 수한면에 편입되었음.
3. 자연마을
- 갈고성 마을:노성 동쪽에 있는 마을로 뒤에는 갈고산성이 있으며, 솟점이 있었음.
- 모개울:송정 동북쪽에 있는 마을, 갈고성에서는 남쪽, 옥천쪽으로 가는 길목이라하여 모개울이라 함. ‘모개’는 ‘목’의 고어(古語)이다.
- 새말:송정 남쪽에 있는 마을로 노성리에서 가장 남쪽이 되며, 현재 4가구만이 살고 있음.
- 송정(松亭):노성리의 중심 마을로 전에는 노송들이 우거졌다고 하나, 지금은 조금 남아있으며, 현재 8호가 살고 있음.
- 점볼마을:노성리에서 가장 큰 마을로 11가구가 살고 있으며, 전에는 솟점이 있었음.
4. 기타지명
- 가는골:되목골 안에서 북쪽에 있는 골짜기로 되목재 바로 밑이 되고 골이 좁고 가늘다 하여 가는골임.
- 갈고개재:송정에서 차정리로 넘어가는 고개로 갈고개라고도함. 갈고개에서 송정리 쪽으로 흐르는 물은 회남 은운리를 거쳐 직접 금강으로 들어가고, 차정쪽의 물은 보은, 청산을 거쳐 금강으로 흘러들어 간다.
- 갈고성(葛枯城):모개울과 점볼 사이에 있는 성으로 정상에 샘이 있으며, 최영장군이 말을 달리며 군사들을 훈련시켰다고 하나, 오늘날 공동묘지로 변함.
- 감나무골:송정 북쪽에 있는 골짜기고 말골에서 등성이 너머에 있는 골짜기로 감이 많이 생산됨.
- 갓옷바우:주막거리에 있는 바위로 그 속에는 갓과 옷이 들어 있다고 함.
- 강터골:송정 남쪽에 있는 골짜기로 6.25사변 후 피난민들이 화전을 일구고 살았으나 오늘날은 이주하여 터만 남아 있음.
- 관모봉(冠帽峰):송정 서북쪽의 산으로 갓 위에 쓰는 갈모처럼 뽀죽하게 생겼음. 장마 때 모두 물에 잠기고 갈모만큼만 남았다고 하여 갈모봉이라고도 함.
- 늦은 방아골:고나모봉에서 서쪽으로 내려오는 골짜기로 방아다리 같이 생겼으며, 경사가 완만하다고 함.
- 늘티재:새말에서 회남면으로 가는 고개로 회남장에 다닐 때 넘나들던 고개였으나 수한면에 편입된 후 다니지 않음.
- 담배나무골:말골 입구가 되는 골짜기.
- 되목골:송정 서쪽에 있는 골짜기로 되목재 밑까지 이어짐.
- 되목재:송정에서 회남면 판장리 2리로 넘어가는 고개, 회남→차정→보은으로 가는 길목이었으나, 행정구역상 수한으로 편입된 후, 통행이 없음. 고개가 가파르다고하여 ‘된목재’라고 하던 것이 변하여 ‘되목재’가 되었음.
- 두루봉:송정 서쪽에 있는 산으로 봉우리가 둥글게 생겼음.
- 말골:관모봉과 작은 관모봉 사이에 있는 골짜기로 송정에서 가장 크고 깊다고 함.
- 밀개봉:점볼 남쪽에 있는 산으로 밀개처럼 생겼음.
- 병매 나무골:새말 서쪽에 있는 골짜기.
- 샴골:새말 서쪽에 있는 골짜기로 새박골에서 산등성이 너머가 됨.
- 쌀개봉:송정 북쪽에 있는 산으로 방아 쌀개처럼 생겼음.
- 새박골:새말에서 서쪽으로 등성이 서쪽에 있는 골짜기로 전에는 인가가 있었다고 하나, 지금은 바위들만 많음.
- 서낭재:점골에서 모개울로 넘어가는 고개로 전에는 서낭당이 있었으나 도로 확장으로 없어짐.
- 안골:새말 북쪽에 있는 골짜기로 장작골 안쪽에 있음.
- 얼겅산:모개울 서쪽에 있는 산으로 매우 가파르고 험한 산이라고 함.
- 외밭골:송정 서쪽에 있는 산으로 관모봉 옆의 작은 산.
- 주막거리:새말 남쪽에 있는 거리로 옥천군 안내면 용촌리와 회남면 은운리, 수한면 노성리로 갈라지는 길목이 되고 예산ㄹ에는 주막이 있어 정감이 감돌던 곳으로 오늘날 수한면 동정리에서 옥천군으로 가는 2차선 도로가 훤하게 뚫여 있다.
- 진터벌:모개울 북쪽, 갈고성 남족이 되는 골짜기로 갈고성의 군사들이 진을 쳤다고 함.
- 큰느치골:점볼 서쪽에서 있는 골짜기.
- 큰음달:되목골 안 음달 쪽에 있는 골짜기.
- 탑거리:점볼 입구에 있는 길목으로 돌로 쌓은 탑이 있었음.
- 태음산(太陰山):마을 뒷산으로 떠밀면 넘어질 듯 고개를 숙이고 있는 산으로 서북쪽 산밑이 오늘날의 동정저수지 윗부분이 되고, 전설에 의하면 우리나라 국민이 3일간은 먹을 수 있는 양식이 있다고 전해오고 있음.
- 평풍바우:새말 서쪽에 있는 골짜기 평풍바우 골 안에 있는 바위로 병풍을 쳐놓은 것 같이 생겼다고 함.
- 푯대봉:송정 남서쪽에 있는 산으로 세부 측량시에 사용한 산정상에 춋대가 박혀 있다고 함.
- 함박골:점볼 북쪽에 있는 골짜기.
동정리(동井里)
1. 위치
면적 3.56㎢, 44가구 138명(1999년말). 본면의 서쪽에 위치하며, 동은 교암리(敎岩里), 서는 차정리(차井里), 남은 오정리(梧亭里), 북은 산척리(山尺里)에 접하고 있다.
2. 연혁
본래 보은군 수한면 지역으로서 오동나무와 우물이 있으므로 동정(洞井)이라 하였는데 1914년 행정구역 폐합에 따라 평포리(坪浦里)와 회인군 동면의 차령리 일부를 병합하여 동정리라 하였다.
3. 자연마을
- 메지랑이():듭푸골 동북쪽에 마을. 폐촌되었던 마을이 동정학교가 있은 후 다시 마을이 생겨나 급격한 농촌 인구 감소로 또다시 폐촌되었다. 마을이 들어 있는 자리가 꼬리긴 새의 자웅이 앉아 있는 형국이라 하나 속설이고, 머위는 오동의 고어
- 듭푸골():새터 북쪽에 있는 마을 물이 고이면 물바다가 됨.
- 새-터:동정리 동북쪽에 있는 새로된 마을
4. 기타지명
- 논골:메지랭이 고개 남쪽으로 있는 들.
- 달기터:듭푸골 서남쪽에 있는 골짜기로 상동정 가는 길가.
- 대밭들:메지랭이 남쪽에 있는 들 지금의 농협 창고 뒤 음달편으로 조리대가 매우 우거져있음. 차정천에는 보가 있어 대밭들에 물을 댄다.
- 도람 모롱이:원동정에서 동남쪽에 있는 모롱이. 갈골재로 넘어가는 길목임.
- 동정교:메지랭이에서 듭푸골로 가는 다리 옥천군 안내면으로 가는 다리로 수해로 인하여 수차례 신설된 다리임.
- 미나리골 산:원동정 북쪽 산으로 골짜기에 미나리를 많이 심음.
- 메지랭이고개:병원으로 넘어가는 고개 회인 사람들이 보은장을 보러 갈 때 다니던 고개였으나 도로확장 공사 저수지 공사 등으로 확장 포장되어 2차선 도로가 뚫려 있다.
- 샛고개:원동정에서 남쪽으로 등성을 넘어가는 고개.
- 서낭재:새터에서 원동정으로 넘어가는 고개에 서낭당이 있고 서낭으로 모시는 말채나무가 있음.
- 염통산:메지랭이 서북쪽 5백미터 지점에 있는 산으로 천지개벽 당시 산의 흔적이 모두 없어지고, 소의 염통만한 크기의 산 봉우리만 남았다고 함.
- 재피골:새터 동북쪽에 있는 골. 큰절골, 작은절골이 있으며, 옛날에 절이 있었으나 빈대가 많아 폐찰되었다고 함.
- 태음산(太陰山):메지랭이 동남쪽 1㎞ 지점에 있는 산으로 옛날 천지개벽으로 산 정상에서 밑으로 물이 흘러 완전히 물이 빠져나가 ‘항건산’으로도 불리운다.
- 활목재:원동정에서 장선리로 넘어가는 고개.
5. 문화유적
- 김광 묘비(金光 墓碑)
조선 성종(成宗)때 은사(隱士) 경주인 장암 김광(金光)의 묘비로 치사(致仕) 봉조하(奉朝賀) 송근수(宋近洙)가 지었으며, 조선 고종(高宗)때 세움.
- 박기종공덕기념비(朴기鍾功德記念碑)
동정학교 둑에 세워진 공덕비로서 1955년 기성회 일동의 이름으로 세워졌으며, 학교발전에 많은 공을 세웠으나 학생감소로 폐교상태임.
- 동정리 사지(寺址)
동정리 산21에 있는 절터. 부락 앞산의 두 골짜기에 있는 절터로서 이 곳을 큰 절골, 작은 절골이라 부르기도 한다. 큰 절골의 면적은 약 250㎡, 축대가 40m 정도 있다. 절터는 농지로 경작하고 있는데, 고려시대 기와로 추정되는 기와 조각이 발견되고 있다.
묘서리(묘西里)
1. 위치
면적 2.9㎢, 83가구 220명(1999년말). 본면의 동남쪽에 위치하며, 동은 삼승면(三升面), 서는 광촌리(光村里), 남은 거현리(巨峴里), 북은 소계리(笤계里)에 접하고 있다.
2. 연혁
본래 보은군 수한면의 지역으로서 못골 서쪽이 되므로 묘섯골 또한 묘서동이라 하였는데, 1914년 행정구역 폐합에 따라 묘동리, 중리를 병합하여 묘서리라 하였다.
3. 자연마을
- 모정:모종. 물안이 동남쪽에 있는 마을. 약 100년 전 마을 앞 하천변에 큰 바위가 있었는데, 그 위에 정자를 짓고 오가는 사람들이 쉬어 갔다고 함.
- 물안이:묘서동 서쪽에 있는 마을. 냇물 건너 안쪽에 있음.
- 버드쟁이:물안이 남쪽에 있는 마을. 버드나무가 많았음.
- 유전:→버드쟁이
- 주막거리:묘서동 북쪽에 있는 마을. 주막이 있음.
- 정개동:→증개월
- 증개울:모종 동남쪽에 있는 마을.‘즘개’가 변하여 증개울이 됨. 모정으로 흐르는 개울이 있으므로 긴개울이라 하던 것이 변하였다고도 함.
4. 기타지명
- 개도티:증개울에서 삼승면 선곡리 개토시로 넘어가는 고개
- 군수바우:옛날에 군수가 밤에 와서 놀다 갔다고 함.
- 날근터:옛날에 집이 있었던 곳으로 현재든 철거되고 터만 남아 있음.
- 농바우:농처럼 우뚝 서 있는 모양을 하고 있음.
- 늪능개들:묘서동 북쪽에 있는 들. 늪이 있었고 면적이 넓다 함.
- 등산바우:묘골 동쪽에 있는 산.등산바우가 있음.
- 등산바위:등산바우 산마루에 있는 바위. “패등혈‘이 있다함.
- 비룡성이:용이 나르는 형국을 하고 있다고 하여 붙여진 이름.
- 산지당골:산제당 옆에 있는 골짜기
- 상나무배기:묘서동 서남쪽에 있는 골짜기. 상나무가 있었음.
- 상나무배기샘:상나무배기 옆에 있는 샘
- 솔고개:묘서리에서 광촌리 어루팽이로 가는 고개. 소나무가 많음.
- 수캐토시골:앙캐토시골 동쪽에 있는 골짜기. 싸리나무가 많아서 싸리목이라 했다고도 하고 쌀이 좋고 많이 나서 싸리목이라 했다고 함.
- 양캐토시골:묘서동 남쪽에 있는 골짜기. 개토시 안쪽이 됨.
- 어루수티:묘서동 서북쪽에 있는 골짜기. 숲이 많이 우거졌다함.
- 질장대:등산바우 남쪽에 있는 산. 길이 장대같이 곧바로 났다고 함.
- 한섬지기들:묘서 2리와 거현 2리 경계 지점에 있는 논, 쌀이 열 말 정도 나온다고하여 붙여진 이름
- 회송골:물안이
5. 문화유적
- 등선암
1919년 기미독립 만세운동 당시 우리 보은군에서도 독립만세 운동이 있었다. 3.1만세운동이 전국적으로 퍼지면서 이곳 묘서리 앞산 등선암 정상에서 음력 4월 13일 밤 자정을 기하여 독립만세를 외치게 된다. 이곳 묘서리의 최용문, 안만순, 송덕빈 3명이 주동이 되고, 마을 청년들을 규합하여 외치게 되었고 길상리 뒷산 정상에서도 동시에 독립만세를 외침으로서 보은의 ‘10의사 만세사건’으로 재판기록에 남아 있다. 당시 내북면 산성리 노고산성을 비롯하여 서지리 관모봉에 4월 10일 밤, 묘서리와 길상리에서는 13일 밤 자정을 기하여 독립만세를 부른 것이 보은의 기미년 만세운동이 되었다.
- 주희묘비(周禧墓碑)
조선시대에 공조판서를 지낸 초계인 주희의 묘비로서 신천석이 비문을 짓고 신태일이 썼다.
발산리(鉢山里)
1. 위치
면적 2.31㎢, 96가구 278명(1999년말). 본면의 남쪽에 위치하며, 동은 보은읍, 서는 교암리(敎岩里), 남은 소계리(笤계里), 북은 후평리(後坪里)에 접하고 있다.
2. 연혁
본래 보은군 수한면의 지역으로서 뒤에는 염주봉(念珠峯) 앞에는 노승봉(老僧峯)이 있어서 이것이 바릿대처럼 되었다 하여 바리미 또한 발산이라 하였는데, 1914년 행정구역 폐합에 따라 운천리(云川里) 일부를 병합하여 발산이라 하였다.
3. 자연마을
- 물방거리:안말 동쪽에 있는 마을. 개울 건너에 있으며 전에 물레방아가 있었음. ‘물방아거리가’가 변하여 ‘물방거리’로 됨.
- 발산:발산리. 뒤편은 염주봉, 앞은 노승봉, 좌우는 목탁봉 등으로 마을이 둘러 싸여있어 마을이 마치 노승이 염주를 목에 걸고 목탁을 두드리는 형국이라하여 바리미 또는 발산리라 부르게 되었음.
- 사랭이:바리미 동쪽에 있던 마을. 옛날 사령이 있었던 곳이라 함. 도로 확징시 철거되어 현재는 밭으로 변했음.
- 새말:안말 동쪽에 있는 마을. 새말고개 너머에 있음. 새로 생긴 마을이라 함.
- 새터:바리미 북쪽에 새로 생긴 마을
- 웃개:사랭이 남쪽에 있는 마을. 성리 입구에 있음.
4. 기타지명
- 가자골:안말 동쪽에 있는 골짜기로 가재가 많다고 함.
- 구지노니고개:새터에서 후평리 구지노니골로 넘어가는 고개.
- 꼴딩이:새터에서 큰 도로로 넘어오는 고개로 장수가 나올 지형이라고 해서 이여송이 혈맥을 끊었다고 함.
- 노승봉:바리미 앞에 있는 산. 허리가 굽었다 함.
- 도통모랭이:안말 앞에 있는 모롱이. 산을 끼고 도는 곳으로 전에는 교통사고가 많이 났다고 함.
- 땀때기샘:빈소골에 있는 샘. 샘물이 몹시 차가워서 여름에 땀띠가 난 사람이 씻으면 바로 낫는다고 함.
- 목탁봉:새말 뒤에 있는 산.
- 발산교:발산리 동쪽에 있는 다리. 1932년 7월 15일에 놓았다가 수차례 수해로 인해여 지난 해 1998년 다리를 다시 크게 준공하였다.
- 배나무재:안말에서 교암으로 넘어나는 고개. 허먹골 위에 있음. 고개 마루에 돌배나무가 있었다고 함.
- 보살바우:대전과 회인의 갈림길 서쪽에 있는 바위.
- 북바우:안말 동쪽에 있는 바위. 위에 올라가서 두드리면 북소리가 난다고 함. ‘버구바우’라고도 함.
- 빈속골:안말 남쪽에 있는 골.
- 사랭이보:사랭이 앞에 있는 보. 수한교 위에 있음.
- 산지당골:안말 서쪽에 있는 골. 6.25동란 전까지 정원 초이래날 산제를 올렸다고 함.
- 성주고개:안말에서 후평으로 넘어가는 고개.
- 싸리미기:사랭이 동쪽에 있는 골. 논이 많고 비옥하여 농사가 잘 되어 쌀이 많이 난다고 함.
- 염주봉:바리미 뒤에 있는 산. 산봉우리가 염주알처럼 봉울봉울 마을을 둘러싸고 있다고 함.
- 웇나무골:웃말 남쪽에 있는 골짜기. 자두락 밭골 다음에 있음.
- 자두락밭골:욱대 뒤에 있는 골짜기. 자투락밭이 있고 자갈도 많다고 함.
- 제동댕이:안말 동쪽에 있는 논.
- 조선바우펀던:안말 뒤에 있는 버덩. 위에 바위가 있는데 우리나라 지도처럼 생겼다고 함.
- 함박소들:안말 앞에 있는 들. 함박소 옆에 있음.
- 함박소고:안말 동남쪽에 있는 보. 함박소가 있던 곳에 막은 보.
- 허먹골:안말 서북쪽 염주봉 밑에 있는 골짜기.
병원리(並院里)
1. 위치
면적 2.08㎢, 60가구 155명(1999년말). 본면의 북쪽에 위치하며, 동은 후평리(後坪里), 서는 산척리(山尺里), 남은 교암리(敎岩里), 북은 내북면(內北面)에 접하여 있다.
2. 연혁
본래 보은군 수한면의 지역으로서 조선 때, 함림역(含林驛)에 딸린 병원이 있었으므로 병원이라 하였는데, 행정구역 폐합에 따라 병원리라 하였다.
3. 자연마을
- 가련(嘉蓮):작은골 동남쪽 연못 부근에 있는 마을.
- 갱변:정자골 남쪽에 있는 마을로 항건천변이 됨. 현재 직물공장이 들어 섬.
- 병원:→병원리.
- 새터:정자말 동남쪽에 새로 생긴 마을.
- 원너머:정자말 서쪽에 있는 마을. 옛날에 원님이 가마를 타고 다니던 가마 뚜껑이 버려진 장소를 밟고 지나가야 마을에 이를 수 있었다 하나 믿을 수 없었고, 조선시대 행인의 숙식을 제공하던 병원 건너편에 있는 마을이기 때문에 원너머라고 부름.
- 정자말:새터 동남쪽에 있는 마을. 매봉산 밑의 칠원 윤씨 문중에서 부모에게 효행한 윤종(尹종)을 기리기 위해 세운 정자 밑에 있음.
- 정자밑:정자말 밑에 있는 마을.
4. 기타지명
- 곱단지골:안말 북쪽에 위치한 골짜기. 곱단이라는 여자가 살다 죽은 후 화장하였다 함.
- 금박골:안말 서쪽에 있는 골짜기. 김씨 박씨 2인 성씨를 가진 사람들이 살던 곳으로 여기에서 살면 부자가 되어 잘 산다 하여 금박골이라 함.
- 너더리골:원너머 서쪽에 있는 골짜기. 매봉산 준령에 돌이 돌출되어 경치가 좋았다 함.
- 느리재:→느랫재
- 느랫재:병원리와 오정리의 중간지점에 있는 고개.험준하여 느릿느릿 고개를 넘었다 함.
- 도장골:너더리골 동쪽에 있는 골짜기. 좁은 길이 있어 도보로 먼 길을 왕래하여 아무를 하던 곳이라 함.
- 매봉재:원너머 북족에 있는 산. 가련 부락 앞의 매봉산에서 사냥꾼이 사냥매를 키우면서 매로 사냥을 하였다 함.
- 메기바위:원너머 서쪽 항건천변에 있는 바위. 밑에 메기가 많다 함.
- 반목고개:안말에서 산척리 반목으로 가는 고개.
- 샘밭고개:안말에서 보은읍 용암리로 가는 고개. 안말에 살던 김씨 3형제가 병원에서 용암리로 넘어다니며 놀던 곳이라 하여 붙인 이름.
- 샘밭구렁:안말 동북쪽에 있는 골짜기. 샘이 많다고 함.
- 샘아홉마지기논:생밭구렁에 있는 논. 면적이 아홉마지기 정도라고 함.
- 약물내기펀던:너더리골 서남쪽에 있는 버덩. 반목고개 중턱에 서낭당에 있는데 서낭당 밑에 샘이 있어 이 샘물을 마시면 약이 되고 옻이 오른 사람이 물을 먹고 펀던에 누워 있으면 병이 낫는다고 함.
- 연정골:작은골 동북쪽에 있는 조용한 골짜기. 밑에 학문을 닦기 위하여 지은 연정사가 있었던 곳이라고 함.
- 작은골:병원 서북쪽 작은 골짜기에 있는 마을. 금박골 밑에 김씨의 박씨가 살던 곳으로 아주 작은 마을이 처음으로 병원 부락에 생겼기 때문에 작은골이라 함.
- 장기바위:바위모양이 장기판처럼 생겨서 지나가던 선비들이 장기를 두었다고 함.
- 학수대:미지랭이 서남쪽에 있는 바위. 항건산 주령 밑에 있는 바위로서 가련 부락 각 가정에 불길한 일이 있으면 이 바위에 와서 청수를 떠 놓고 무운을 비는 바위라 함.
- 항근천:항건산에서 내려오는 큰 냇물로 평소에는 맑고 차지만 가뭄에는 물이 보이지 않아 항상 건조한 내를 보인다 함.
5. 문화유적
- 경주김씨 효부각(慶州金氏 孝婦閣))
병원리에 있는 비지정문화재 전주인 이윤명의 부인으로 18세에 출가하여 달포만에 그의 남편이 죽자 스스로 자결하려다가 늙은 시부모님을 모시는 것이 옳다고 판단하여 마음을 고쳐먹고 정성을 다하여 시부모님을 봉양함에 이를 칭찬하지 않는 사람이 없었다. 1955년 문묘에서 표창하여 그 효부를 기리기 위하여 후손들이 효부각을 세움.
- 윤종 효자문(尹종 孝子門)
칠원인 사성와 윤종의 효행을 기리기 위하여 세운 정문이다. 윤종은 그의 어머님이 해소로 고생함을 보고 지성껏 간호하여 매추리고기가 좋다는 소리를 듣고 구할 길이 없어 하늘을 보고 통곡하니 한 쌍의 매추리가 날아와 방으로 들어와 잡아드려 병을 고쳤다. 1889년에 명정되었다.
산척리(山尺里)
1. 위치
면적 2.7㎢, 22가구 68명(1999년말). 본면의 북쪽에 위치하며, 동은 병원리(並院里), 서는 회북면(懷北面), 남은 오정리(梧亭里), 북쪽은 내북면(內北面)에 접하고 있다.
2. 연혁
본래 보은군 수한면 지역으로서 큰 고개 밑이 되므로 산자골 또는 산척곡(山尺谷)이라 하였는데, 1914년 행정구역 폐합에 따라 은로리(隱路里)와 회인군 동면의 산척리(山尺里) 일부를 병합하여 산척리라 하였다.
3. 자연마을
- 반목:산목 동북쪽에 있는 마을
- 산자골:산능선이 자벌레같이 생겨서 산척리라 함.
- 웃산자골마을:반목 마을 서쪽에 있는 마을
4. 기타지명
- 고두리:산자골 동쪽에 있는 골로 울산으로 넘어가는 고개
- 달박골:미지랭이에서 반목으로 넘어가는 고개
- 도장골:반목 서북쪽에 있는 골짜기
- 보독골:산자골 동쪽에 있는 골짜기로 염통미에 있음
- 서낭고개:반목에서 병원으로 넘어가는 고개
- 서농골:산자골 동북쪽에 있는 골짜기
- 안산:반목 마을 앞에 있는 산
- 염통산:반목 남쪽에 있는 산으로 소의 염통 형상을 하고 있다고하여 염통산으로 칭함.
- 할무당골:산자공 동북쪽에 있는 골짜기로 서농골과 등성이를 경계로 하고 있음
- 회골:웃산자골 동쪽에 있는 골짜기. 바위의 색깔이 백색으로 되어 골짜기 비탈에 깔려 있어 회 같다고 하여 회골
성리(星里)
1. 위치
면적 2.12㎢, 32가구 92명(1999년말). 본면의 남쪽에 위치하며, 동은 발산리(鉢山里), 서는 질신리(秩新里), 남은 소계리(笤계里), 북은 교암리(敎岩里)에 접하고 있다.
2. 연혁
본래 보은군 수한면의 지역으로서 벼랑이 있으므로 비리라 하였는데 1914년 행정구역 폐합에 따라 성리라 하였다.
3. 자연마을
- 비리:아랫말, 웃말, 중간말을 통틀어 비리라고 함. 벼랑이 있으므로 ‘별리’라 부르던 것이 변하여 ‘비리’라고 하며 골이 깊고 우묵하여 별만 보이므로 ‘별리’라 부르던 것이 ‘비리’로 변했다고 함.
- 아랫말:비리 아래쪽에 있는 마을.
- 웃말:비리의 위쪽에 있는 마을.
- 중간말:아랫말과 윗말 사이에 있는 마을.
4. 기타지명
- 거멍산:비리 남서쪽에 있는 산으로 산이 높아 검게 보여 거멍산이라고 함.
- 고개밑:비리에서 질신으로 넘어가는 고개.
- 다락골:비리 서북쪽에 있는 골짜기. 골이 다락처럼 높다고 함.
- 돼지봉안:비리 동남쪽에 있는 산.
- 땅고개:비리에서 발산리 바리미로 넘어가는 고개. 고개가 아주 낮아 평지 같다고 함.
- 말고지 고개:비리에서 발산리 바리미로 넘어가는 고개. 지현이 말 모양이라고 함.
- 모링이:비리 서쪽에 있는 들. 서쪽산의 모퉁이를 돌아간다 함.
- 빈소골재:동북쪽에 있으며 묘가 많다고 함.
- 소메기고개:비리에서 소계리 소메기로 가는 고개. 그 지형이 소의 목과 같이 생겨 소메기 또는 우항이라고 함.
- 소목고개:소메기고개.
- 아랫비리:비리 아래쪽에 있는 들.
- 안골:비리 북족에 있는 골짜기.
- 안산:비리 남쪽에 있는 산. 마을 앞에 있어 안산이라고 함.
- 오약골:비리 남서쪽에 있는 골짜기. 약초가 많이 자라고 있다고 함.
- 옹달샘:아랫말과 웃말 사이에 있는 옹달샘. 수원이 좋음.
- 왕자골:비리 동쪽에 있는 골짜기. 왕자혈의 명당이 있다고 함.
- 전대골:비리 동남쪽에 있는 골짜기. 골짜기가 전대처럼 생겼다고 함.
- 골:비리 동남쪽에 있는 골짜기로 턱모양으로 생겼다고 함.
소계리(笤계里)
1. 위치
면적 1.82㎢, 57가구 164명(1999년말). 본면의 동쪽에 위치하며, 동은 보은읍(報恩邑), 서는 성리(星里), 남은 묘서리(묘西里), 북은 발산리(鉢山里)에 접하고 있다.
2. 연혁
본래 보은군 수한면 지역으로서 소의 목이 되므로 소메기, 또는 우항(牛項)이라 하였는데, 1941년 행정구역 폐합에 따라 말관리(末串里)와 묘북리(묘北里)를 병합하여 소계리라 하였다.
3. 자연마을
- 가막재(加幕재):새터 동남쪽에 있는 마을로 숯가마가 있었음.
- 말꼬지:소메기 동북쪽에 있는 마을. 지형이 말모양의 곶으로 됨. 수한지서가 있는 마을.
- 새커:소메기 남쪽에 새로 생긴 마을.
- 소메기:→소계리
- 양지말:소메기골 끝에 있는 마을. 양지편에 있음.
- 우항:→소계리
- 음지말:소메기 북서쪽에 있는 마을. 양지말 전에 있는 마을로 음지편에 있음.
4. 기타지명
- 가막너머 골:가막재 너머에 있는 골.
- 가막재:말꼬지에서 가막재로 넘어가는 고개.
- 가막현:가막재.
- 각시암:소계리에 있는 바위. 각시처럼 생겼음.
- 갈마음수혈산:소계리에 있는 산. 말이 물을 마시는 형국이라고 함.
- 개구리산:소계리에 있는 산. 개구리처럼 생겼다고 함.
- 거운산:질고지 뒷산으로 항상 검을 구름이 있는 곳이라고 함.
- 고소골:가막재 서북쪽에 있는 골짜기. 낡은 옛 집에 있었다고 함.
- 굴다리:동정 수리조합 물이 말꼬지를 거쳐 지산으로 가는 수로.
- 동리고개:양지말에서 수한면 질신으로 넘어가는 고개.
- 등산바우:가막재 동남쪽 산에 있는 바위. 산위가 온통 바위로 되어 있는데 경치가 아름다워 봄이면 마을 사람들이 놀러가서 등산을 한다고 함.
- 따랭이논:골짜기에 있는 좁고 작은 논이라고하여 붙은 이름.
- 말바우들:말바우 옆에 있는 들.
- 먼사박골:양지말에서 광촌으로 넘어가는 골짜기. 먼곳의 소리까지도 이곳에서는 들린다고 함.
- 부엉이집골:말꼬지 동북쪽에 있는 골짜기. 부엉이가 많이 살았다고 함.
- 비리고개:양지말에서 성리로 넘어가는 고개.
- 비리고개:말고지에서 성리로 넘어가는 고개.
- 비선거리:개울을 따라 소메기에서 말꼬지로 돌아가는 길목 박씨 비석이 여러 개 서 있다고 함.
- 사박골:소계리에 있는 골짜기. 마을에서 멀리 떨어져 있다고 함.
- 수기안들:말고지 동북쪽에 있는 들. 수기안보의 물을 이용하여 농사를 짐.
- 수기안보:말꼬지 동북쪽에 있는 보.
- 신랑바우:소계리에 있는 바위. 신랑처럼 생겼음.
- 아래작살골:작살골 아래에 있는 골짜기.
- 안산:가막재 서쪽에 있는 산. 마을앞에 있음.
- 왕자골:말꼬지 서쪽에 있는 골. 비리고개 밑에 있음. 명당자리가 하나 있는데 그곳에 묘를 쓰면 자손중에 왕자가 태어난다고 함.
- 위작살골:소계리에 있는 골짜기. 물고기를 잡는 작살 모양과 같다 함.
- 자갈고개:말고지에서 보은읍 지산리로 넘어가는 고개. 자갈이 죽 깔려 있음.
- 작살골:말꼬지 동쪽에 있는 골. 작살모양과 같다 함.
- 작살골들:위작살골과 아래작살골 사이에 있는 들.
- 작은고개:새터말에서 비리로 넘어가는 고개. 고개가 낮고 작다고 함.
- 텃들보:말고지 서쪽에 있는 보.
- 팥발골:새터 뒤에 있는 골짜기. 팥발을 많이 일구어 경작했다고 함.
- 행자골:가막재 서쪽에 있는 골짜기.
- 홍고리보:말꼬지 앞. 거현천에 있는 보. ‘홈거리보’가 변하여 ‘홍고리보’가 됨.
- 홍고리논:홍고리보 밑에 있는 논. 옛날에 물레방하 홈을 이용하여 붙은 이름. 홍고리보의 물을 이용하여 농사를 지음. ‘홈고리논’이 변하여 ‘홍고리논’이 됨.
5. 문화유적
- 박상호묘비(朴商皓墓碑)
조선 숙종 때 사헌분 지평을 지낸 상산인 박상호의 묘비로서 비문은 우암 송시열이 지었다.
오정리(梧亭里)
1. 위치
면적 2.00㎢, 43가구 118명(1999년말). 본면의 서쪽에 위치하며, 동은 교암리(敎岩里), 서는 차정리(車井里), 남은 질신리(秩新里), 북은 동정리(桐井里)에 접하고 있다.
2. 연혁
본래 보은군 수한면의 지역으로서 오동나무 정자가 있었으므로 오동정이 또는 오정이라 하였는데, 1914년 행정구역 폐합에 따라 오정리라 하였다.
3. 자연마을
- 오정:→오정리
- 외딴말:오정 동북쪽에 있는 마을. 전에 외딴집이 한 채 있었다고 함.
4. 기타지명
- 갈골:꽃밭날 북쪽에 있는 골짜기로 옛날에 칡이 많이 자생하고 있었다고 함.
- 갈골재:갈골에 있는 고개.
- 개탕골:오정 동쪽에 있는 골짜기. 장치를 끼우는 흠과 같이 생긴 골짜기라 함.
- 개탕골들:개탕골에 있는 들.
- 구시샴:재양골에 있는 샘. 소구유처럼 생겼다고 함.
- 꽃밭날:오정 서쪽에 있는 골짜기. 지형이 “매화낙지형”이라 함. 골짜기에서는 버들이 피어나고 산에는 진달래가 피어 봄소식을 가장 먼저 알려주는 곳이라고 함.
- 날근터:오정 북쪽에 있는 골짜기. 산 날가지에 있는 골짜기라 함.
- 덤바우들:덤바우 옆에 있는 들.
- 도깨비방앗간:오정에서 동북쪽으로 300m지점에 위치한 방앗간 터. 50여년 전까지 물레방앗간이 있었는데 방아를 바로 매달아 놓아도 인적이 없을 때 빈방아가 쿵덕쿵 쿵덕쿵 울렸다고하여 도깨비 방앗간이라 부름.
- 도깨비보:도깨비 방앗간 터 아래에 있는 보.
- 말문이:옛날에 말을 먹이던 골짜기라고 함.
- 댕끼미들:시구터 남쪽에 있는 들. 맹꽁이가 많이 울었다하여 맹끼미들로 바뀌어 불리어 옴.
- 분터골:꽃밭날 남쪽에 있는 골짜기. 다른데 비하여 농사가 잘 되어 토질이 썩은 흙이라하여 분토골이라 불리어 오다 분터골이라 바뀌어 불리게 됨.
- 뽕땅골:오정 남서쪽 500m지점에 있는 골짜기. 뽕나무 밭이 많았다 함.
- 불탕골:오정 남쪽에 있는 골짜기. 옛날에 부처를 모셔 놓은집이 있었던 곳이라하여 불당골이라 불리우다 불탕골로 바뀌어 불리어옴.
- 수문억:오리 남쪽에 있는 골짜기. 질신리에서 나오는 양쪽 산골의 물이 합쳐서 흘러 나가는 지점이라 함.
- 수문억소류지:수문억 서쪽에 있는 못.
- 시구터:오정 남쪽에 있는 골짜기. 흙이 기름지어 농사가 잘 되는 골짜기로 더러운 물러 흙이 썩어서 이루워진 골짜기라 시긍터로 불리우다 시구터로 변함.
- 오리골:오정 동남쪽에 있는 골짜기. 골짜기 전체에 오리나무가 무성하게 자라서 ‘오리나무골’이라 부르던 것이 줄어서 ‘오리골’이라 부름.
- 오양골:전에 소를 먹이던 골짜기라고 함.
- 재양골:옛날에 부자들이 기와집을 짓고 살았었다고 함. 구시샴거리라고도 함.
- 절골:개탕골 동쪽에 있는 골짜기. 절이 있었음.
- 청가마:오정 북쪽에 있는 골짜기. 옛날에 청나라 사람이 와서 숯가마를 만들어 숯을 굽던 골짜기라 함.
- 터골:절골 남쪽에 있는 골짜기. 집터가 잇는 골짜기라 터골이라 불리워옴.
- 팟닛봉:옛날 천지개벽으로 봉우리가 팥잎만큼 남았다고하여 붙인 이름.
- 합수글:장선리와 질구지에서 내려오는 물이 만나는 곳에 있는 들.
- 합수보:합수들에 있는 보. 장선리와 질구지에서 흐르는 물을 막아 합수들이 물음 댐.
- 활쏠봉:상봉우리가 활쏘는 모양을 하고 있음.
율산리(栗山里)
1. 위치
면적 1.0㎢, 27가구 79명(1999년말). 본면의 북쪽에 위치하며, 동은 산척리(山尺里), 서는 회북면(懷北面), 남은 차정리(車井里), 북은 내북면(內北面)에 접하고 있다.
2. 연혁
본래 회인군 동면의 지역인데, 1914년 행정구역 폐합에 따라 율성동(栗城洞), 산척리(山尺里)의 일부와 순한면 산척리 일부를 병합하여 율성 산척의 이름을 따서 율산리라 하여 회북면에 편입하였다가 1983년 2월 15일 행정구역 개편에 따라 수한면에 편입되었다.
3. 자연마을
- 밤성-골(栗城):산저골 동북쪽에 있는 마을.
- 산저골:율산리에서 으뜸되는 마을(栗山1리). 지형이 자()처럼 생겼다 함.
- 산척:→산저골
- 율성:→밤성골
4. 기타지명
- 밤성골 고개:산자골에서 밤성골로 넘어가는 고개. 매우 높고 험함.
- 배내미: 산자골(栗山1리)서남쪽에 있는 산. 불당골 막바지에 있음. 천지개벽시 배만큼 남기고 모두 물에 잠겼다고 함.
- 배내미재:산자골에서 회북면 건천리 안흥골로 넘어가는 고개.
- 범산:산자골 서쪽에 있는 산. 진골 안쪽에 있음.
- 부무골:산자골 서남쪽에 있는 골짜기. 불당골 밑에 있음.
- 불당골:산자골 서남쪽에 있는 골짜기. 옛날에 절이 있었다고 함.
- 서냥고개:밤송골 고개 중간쯤에 있는 고개.
- 승지골:산자골 서북쪽에 있는 골짜기. 부무골 밑에 있음.
- 지경들:산자골 남쪽에 있는 들. 산척과 율산의 경계가 됨.
- 진골:산자골 서쪽에 있는 골짜기. 골이 매우 길고 깊음.
- 회사땅:산자골 북쪽에서 밤성고개 사이에 있는 들. 일제시대 척식회사 땅이었다고 함.
- 할미당:율산 1리에서 2리인 밤성골 고개쯤의 골짜기에 석영 최씨네 중시조의 세거지로 청산과부가 된 몸으로 그곳에 은거하면서 살던 곳을 할미당이라 하였음.
장선리(長善里)
1. 위치
면적 1.04㎢, 38가구 108명(1999년말). 본면의 남서쪽에 위치하며, 동은 질신리(秩新里), 서는 차정리(車井里), 남은 옥천군(沃川郡), 북은 오정리(梧亭里)에 접하고 있다.
2. 연혁
본래 보은군 수한면 지역인데, 1914년 행정구역 폐합에 따라 선동(善洞), 매목동(매木洞), 궁기리(弓基里)를 병합하여 장선리라 하였다.
3. 자연마을
- 궁터골:감나무골 북쪽에 있는 마을. 임진왜란 전에 홍병서라는 사람이 거기에서 활 연습을 하였고 임진왜란 때는 의병들이 활과 화살을 만들었다고 함.
- 장선:장선리의 중심되는 마을.
- 감나무골:장선 북쪽에 있는 마을. 감나무가 많았음.
4. 기타지명
- 계석 바위:→괴석바위
- 괴석바우(계석바위):장선 남쪽에 있는 바위. 질신리와 경계에 있음. 호랑이같이 괴상하게 생겼다하여 괴석바우라고 했다고 하나 신빙성이 없고 경계지점에 있기 때문에 ‘계석바위’라 하던 것이 변하여 ‘괴석바우’가 됨.
- 구룻들:장선 동쪽에 있는 들.
- 국사랑이:감나무골 남쪽에 있는 골짜기. 선비들이 서당에 모여 공부를 많이 했던 곳이라 붙여진 이름. ‘국사당이’가 변하여 ;국사랑이‘가 되었음.
- 되목재:장선리에서 회남면 노성리 점벌로 가는 고개. ①임진왜란 때 조헌 선생이 왜병이 넘어오는 것을 보기 위하여 왜병의 목을 보던 고개라하여 되목재라 부름. ②고개의 경사가 급하여 된목재라 부르던 것이 변하여 되목재가 되었음.
- 말무니:궁터골 동쪽에 있는 골짜기.
- 서낭재:장선에서 옥천군 안내면 월외리 서답부리로 가는 고개. 서낭이 있음.
- 안터:장선 남쪽에 있는 골짜기. 아주 아늑하고 한가로운 지역이라고 함.
- 쟁굴:→지앙골
- 절골:장선 서쪽에 잇는 골짜기. 절이 있었던 곳으로 지금은 터만 있음.
- 절골재:장선에서 회남이 노성리 쇠목재로 가는 고개.
- 지앙골:궁터골 북쪽에 있는 골짜기. 태양이 잘 비춰서 무척 따뜻하다 함.
- 지앙골재:궁터골에서 지앙골로 넘어가는 고개.
- 탑산골:장선 동쪽에 있는 골짜기.
- 피난봉:궁터골 서북쪽에 있는 산. 임진왜란 때 조중봉 선생이 가족들을 단련시키기 위해서 가구를 아침이면 이 산으로 옮기게 하고 저녁이면 집으로 옮기도록 하였다함. 임진왜란 때 의병들이 활목재에서 왜적을 막아 싸웠기 때문에 마을 주민들이 이 산에서 무사히 피난을 하였다고 하여 피난봉이라 부름.
- 활목재:궁터골에서 차정리 상차정으로 넘어가는 고개. 궁터골에서 만든 활과 화살을 가지고 의병들이 이 고개에 진을 치고 왜적을 막았다고 함.
질신리(秩新里)
1. 위치
면적 2.64㎢, 43가구 102명(1999년말). 본면의 남쪽에 위치하며, 동은 광촌리(光村里), 서는 장선리(長善里), 남은 옥천군(沃川郡), 북은 오정리(梧亭里)에 접하고 있다.
2. 연혁
본래 보은군 수한면의 지역인데, 1914년 행정구역 폐합에 따라 질관리(秩串里)와 신리(新里)를 병합하여 질신리라 하였다.
3. 자연마을
- 새터:질고지 서남쪽에 새로 생긴 마을로 지금은 질신2리임.
- 질고지:질고지 동쪽에 있는 마을로 산이 길게 뻗어나와 곶을 이루고 있으므로 ‘긴고지’라 부르던 것이 ‘질고지’가 됨.
4. 기타지명
- 동네골:동네 가까이에 있는 골이라하여 붙인 이름.
- 매봉산:매가 꿩을 채려고 날아가다가 앉은 고개라고 함.
- 밀개봉:산 모양이 밀개의 형상을 하고 있다고 함.
- 비들목재:질신에서 광촌리어리괭이로 넘어가는 고개로 목이 긴 비둘기가 날아가는 모양이라고 함.
- 속서마지기논:안쪽 깊숙이 있는 서마지기 논.
- 수문 억:오릿골 남쪽에 있는 골짜기.
- 수문봉:수문억골 부근에 있는 여덟 봉우리.
- 신랑새댁바우:신랑과 색시처럼 마주 보고 앉아 있음.
- 암줄고개:고개의 모양이 안고 있는 모양이라고 함.
- 애배미단마지기:옛날에 아기의 창자를 묻었다고 함.
- 진모자리서마지기:질고지에 있는 논을 말함.
- 집뒤배기서마지기:질고지 뒷논으로 면적이 적어 서마지기 정도가 됨.
- 피난밭자리:질고지에 있는 밭으로. 몸을 숨기기에 좋다고 함.
- 피난봉:조중봉 선생이 피난을 하였다고하여 피난봉.
차정리(車井里)
1. 위치
면적 3.42㎢, 45가구 136명(1999년말). 본면의 서쪽에 위치하며, 동은 오정리(梧亭里), 서는 회북면, 남은 옥천군, 북은 산척리(山尺里)에 접하고 있다.
2. 연혁
본래는 회인군 동면의 지역으로서 수리티 고개 밑이 되므로 수리티 또는 차령(車嶺), 차정이라 하였는데, 1914년 행정구역 폐합에 따라 후율리(後栗里)를 병합하여 차정리라 해서 보은군 회북면에 편입되었다가 1946년 수한면에 편입되었다.
3. 자연마을
- 구소골:상차정 서쪽에 있는 마을. 옛날에 노인들이 모여 구수한 옛날 이야기를 많이 하였다하여 구소골이라 하였다고 하나 신빙성이 없고, 지형이 구유처럼 생겨 구수골이라 하던 것이 변하여 구소골이 되었음.
- 밤나무골:원차정 동북쪽에 있는 마을. 밤나무가 많았음.
- 상차정:→원차경
- 수리티:→차정리
- 원차정:차정의 위쪽에 있는 마을
- 중차정:→밤나무골
- 차돌배기:수리티 서쪽에 있는 마을. 큰 차돌이 박혀 있음.
- 차령:→차정리
- 차정:→차정리
4. 기타지명
- 가래재:상차정에서 회북면 건천리로 넘어가는 고개가 가래모양으로 길다고 함.
- 검사골:중차정과 상차정 사이에 있는 골짜기에 고려장이 있어 무섭다하여 생긴 이름
- 구밤낭골:중차정 서쪽에 있는 골짜기. 밤나무가 많았다 함.
- 구소골:상차정 서쪽에 있는 골짜기로 노성리 점볼까지 4㎞정도 이어짐.
- 논골:수리티 서남쪽에 있는 골짜기. 전에 논이 있었다고 함.
- 대밭들:조리대가 자라는 들이라고하여 대밭들이라고 함.
- 덤박골:중차정과 하차정 사이에 있는 골짜기. 큰바위 밑에 둠벙이 잇었는데 이곳에 와서 사람들이 불공을 드리며 섬겼다고 함.
- 도덕골:상차정 서쪽에 있는 골짜기. 옛날 도둑들이 자주 출몰하여 거주하였다 함.
- 등내골:도덕골 서쪽에 있는 골짜기.
- 떡갈박골:상차정 서쪽에 있는 골자기. 떡갈나무가 많음.
- 무성산:상차정 북쪽에 있는 산.
- 밭굴멍:수리티에서 북쪽으로 있는 골짜기. 밭이 있다고 함.
- 산지당:상차정 서남쪽에 있는 산. 산제당이 있고, 지금도 산제를 매년 지낸다고 함.
- 삼박골:상차정 서쪽에 있는 골짜기. 옛날에 산삼이 많이 났다고 함.
- 서낭골:수리티재 정상에서 북쪽으로 있는 골짜기. 인가가 있었으나 독립가호 정리시 철거되었음.
- 수리티재:하차정에서 회북면 건천리로 가는 재. 임진왜란 때 조중봉 선생이 지휘하여 석전으로 왜병을 전멸시킨 곳으로 경사가 심해 수레가 다닐수 없었다 함. ‘수리’는 ‘높다’는 뜻으로 ‘높은고개’라는 의미를 지님.
- 시루봉:중차정 서쪽에 있는 산. 시루처럼 생겼다 함.
- 여수밭골:상차정 앞, 개울가에 있는 들.
- 웃삼밭골:상차정 서쪽에 있는 골짜기. 삼밭골 위쪽에 있음.
- 직골:상차정 북쪽에 있는 골짜기. 전에 집이 있었음.
- 진골:수리티 뒤의 긴 골짜기. 골이 깊다고 함.
- 차돌배기:차돌배기 동쪽에 있는 골짜기.
- 차령티:→수리티재
- 텃논:마을 앞에 있는 논.
- 토광:상차정 남쪽에 있는 소류지.
- 특내골:골이 높낮이에 따라 차례대로 있다고 함.
- 푯대봉:수리티에서 가장 높은 봉우리. 측량시 푯대를 꽂았다고 함. 옛날에 봉화를 올려 마을 사이에 연락을 하였다고 하여 신호봉이라고도 함.
- 하마비:수리티 마을 입구에 있는 비. 조중봉 선생이 항상 말을 이곳에 세워 두었다고 함.
- 한배미논:차정리에 있는 논. 한 마지기짜리 논이라고하여 붙인 이름.
- 호박재:수리티에서 동정리 두푸골로 넘어가는 고개. 호박처럼 동글동글하게 생겼다고 함.
- 회인땅:원차정 이 전에는 회인군 동면 지역이었으므로 회인땅이라고 부름.
5. 문화유적
- 교서비(敎書碑)
차정리마을 앞에는 5백년이 넘어보이는 느티나무가 있는데 그 나무에다 조중봉 선생이 말을 매어놓았다고 하며, 그 옆에는 하마비(下馬碑)가 있다 조중봉선생을 기리는 후율사(後栗祠)가 있다. 후율사 안에 있는 비가 바로 교서비이다.
- 후율사(後栗祠)
차정리에 있는 사당. 임진왜란때 금산에서 장렬한 죽음을 한 중봉 조현과 함께 순절한 의병 박춘무, 김절,조완기 등 20인의 위패를 봉안한 사우로서 조선 숙종때 보은, 옥천, 청주, 회인의 선비들이 그 충성스러운 영혼을 위안하기 위하여 처음 왜적과 만나 석전으로 승리한 곳에 세웠다. 1871년 서원철폐령에 의하여 훼철한 것을 1928년에 복건하였다. 옆에는 정면 1칸, 측면 1칸의 교서각이 있다. 지방문화재 제15호.
후평리(後坪里)
1. 위치
면적 1.35㎢, 101가구 308명(1999년말). 본면의 동북쪽에 위치하여, 서는 병원리(並院里), 남은 발산리(鉢山里), 동은 보은읍, 북은 보은읍에 접하고 있다.
2. 연혁
본래 보은군 수한면의 지역으로서 보은읍네 뒤쪽이 되므로 뒤뜰 또는 후평이라고 하였는데, 1914년 행정구역 폐합에 따라 와야리(瓦冶里)와 운천리(云川里) 일부를 병합하여 후평리라 하였다.
3. 자연마을
- 물방아거리:후평 동쪽에 있는 마을. 60년전에 물레방아가 생기면서 이루어진 마을이라 함.
- 빈정(瀕汀):왜수 서남쪽에 있는 마을. 후평 뒷산 밑 물가에 인접하여 항상 물과 접하고 있다하여 빈정이라 함.
- 새동네:물방아거리 남서쪽에 새로 생긴 마을. 면사무소 서북쪽으로 있음.
- 와야:→왜수
- 왜수:후평 동북쪽에 있는 마을. 옛날 흙으로 기와를 만들어 굽던 곳으로 기와 굽던 곳이 허물어져 이곳에 있는 못을 기왓장으로 메웠다 함.
- 후평:조선 세조대왕께서 회인에서 속리산에 신병 치료차 왕림하실 때 보은 서다리쪽에서 뒤를 돌아보니 넓은 들녘이 보여 ‘후평’이라 이름지어 주셨다 함.
4. 기타지명
- 구지노니골:물레방아 거리 남쪽으로 도로 건너편에 있는 들
- 대추밭골:빈정 남쪽에 있는 골로 대추나무가 많았다고 함.
- 모살바우:물방아거리 동남쪽에 있는 바위
- 묵노골:물방아거리와 뒷들 중간에 있는 들
- 바리미고개:물방아거리와 뒷들 중간에 있는 들
- 빈정모팅이:빈정에서 병원리로 가는 길목에 있는 모롱이. 현재는 사람들의 통행이 없음.
- 빈정산:빈정 뒤에 있는 산
- 사매기고개:왜수에서 보은읍 봉평리 사매기로 넘어가는 고개
- 안갈래들:안쪽으로, 갈라져 있는 들이라고 하여 붙인 이름
- 용골:빈정 동북쪽에 있는 골
- 칠봉산:뒷들 남쪽에 있는 산. 봉우리가 일곱이라고 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