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보은읍
- 강산리
- 강신리
- 교사리
- 금굴리
- 길상리
- 노티리
- 누청리
- 대야리
- 봉평리
- 산성리
- 삼산리
- 성족리
- 성주리
- 수정리
- 신함리
- 어암리
- 월송리
- 이평리
- 용암리
- 장속리
- 장신리
- 종곡리
- 죽전리
- 중동리
- 중초리
- 지산리
- 풍취리
- 학림리
보은읍(報恩邑)
1. 위치
면적은62.29㎢ 인구 5,667가구 18,023명(1999년말), 본 군의 중앙에 위치하며 동은, 내속리면 외속리면(內俗離面 外俗離面), 남은 탄부면과 삼승면(炭釜面과 三升面), 서는 수한면(水汗面), 북은 산외면(山外面)과 접하고 있다.
2. 연혁
본래 보은군청이 있속으므로 읍내면(邑內面이라 하여 동변(東邊), 서변(西邊), 하장(下漳), 교동(校洞), 사례(士禮), 정현(㫌峴), 보촌(洑村), 이평(梨坪), 죽전(竹田), 잠곡(蠶谷), 광암(廣岩), 장신(長新), 신촌(新村), 피촌(皮村)등 14개의 동리를 관할하다가 1914년 군면 폐합에 따라 산내면(山內面)의 종동(鍾東), 종서(鍾西), 종남(鍾南), 월안(月岸), 내함(內含), 외함(外含), 율지(栗枝), 풍취(風吹), 주지(注之), 산직(山直), 신기(新基), 신함(新含), 감동(甘東), 상동(上東, 증동(中東), 하동(下東), 강산(江山), 와평(瓦坪), 안양(安良), 강신(江新), 성족(聲足), 백인(白忍), 누저(樓底), 강청(江凊)의 25개 동리와 서니면(西尼面)의 내수정(內水井), 외수정(外水井), 금굴(金掘), 은사(隱士), 구양(九良), 지산(芝山), 천곡(泉谷), 두지(斗之), 흥개(洪介), 개경(開慶의 10개 동리와 사각면(思角偭)의 대야(大也), 성주城舟), 성저(城底), 어암(漁岩), 성신(城新), 탁동(濯洞), 만지(晩旨), 월송(月松), 용천(龍川), 용주(龍舟), 고승(高升), 길상(吉祥), 관동(官洞)의 13개 동리를 병합하여 읍내면(邑內面)이라 하고, 삼산(三山), 교사(校士), 이평(梨坪), 죽전(竹典), 장신(長新), 종곡(鍾谷), 학림(鶴林), 풍취(風吹), 신함(新含), 중동(中東), 강산(江山), 강신(江新), 성족(聲足), 누저(樓底), 수정(水井), 금굴(金掘), 지산(芝山), 대야(大也), 성주(城舟), 어암(漁岩), 월송(月松), 길상(吉詳)의 22개리로 개편 관할하다가 1973년에 보은읍으로 승격되었고, 1987년 1월 1일 내북면의 산성리(山城里), 증초리(中草里), 장속리(獐俗里), 용암리(龍岩里), 노티리(老峙里)를 병합하여 현재28개 리를 관할하고 있다.
3. 자연
해발 500m이상의 사천으로 둘러 쌓여 있으며, 금강(錦江) 상류인 보청천(報靑川)이 남북간의 방향으로 흐르고 내북면에서 발원한 불로천(不老川)과 합류하여 중동리, 장신리, 죽전리, 일대에 넓은 충적지를 이루고 있다.
4. 산업
밭 631.0ha 논 1,326.2ha 임야 3,303.3ha 기타 6.7ha 삼산리는 본 읍내의 중심지로서 읍사무소가 있으며, 상업지역이다. 본 읍에서는 주로 쌀 농사가 주업이었고 오늘날 고등채소 단지와 축산업이 성행하고 있다.
해방 전부터 60여 년 간 잠종업(蚕種業)이 성행하기도 하였으나 오늘날 명맥은 찾을 길이 없게 되었고, 외곽지대에는 농동 단지가 건설되었고, 금굴리와 구인리에 농공단지가 조성되어 있다.
5. 교육・문화
초등 4개교, 중학 2개교, 고교 4개교, 보은군내 7개 중학교에서 졸업하는 학생들이 거의가 보은읍내 4개 고등학교로 진학하게 되는 데, 해마다 신입생이 부족한 형편이다.
보은교육을 발전시키려면 먼저 전문대학쯤이라도 세워져야만 연계된 교육이 이뤄져 학생 부족 현상을 메울 수 있겠다. 문화면에서는 보은문화원의 역동적인 조직과 삼 년 산 향토사연구회의 활동이 주가 되고, 또한 보은교육에 관심 있는 많은 인사들이 참여함으로서 미래를 기약할 수 있겠다. 보은읍내에는 군청이 있어 교육문화 행정의 중심지가 된다.
보은읍에는 삼년산성이 있으며, 북쪽으로 4km 지점엔 노고산성이 있어 역사적인 전쟁성터가 되고 있으며, 종곡리의 유물과 지산리의 김수온부조묘 등은 마을 유래에서 언급키로 한다.
강산리(江山里)
1. 위치
면적 1,22㎢, 77가구 221명 (1999년말). 본읍의 서쪽에 위치하며, 동은 중동리(中東里), 서는 중초리(中草里), 남은 교사리(校士里), 북은 산성리(山城里)에 접하고 있다.
2. 연혁
본래 보은군 산내면(山內面) 지역으로서 강산절이라 하였는데, 1914us 행정구역 폐합에 따라 강산리라 해서 읍내면에 편입되었다.
3. 자연마을
- 강사절 : 동네 앞에 내가 흐르고 동내에는 절이 있어 강산절이라 하였다 함.
- 건너말 : 웃말 앞, 도랑 건너에 있는 마을
- 공말 : 강산절 가운데 있는 마을
- 두집메 : 강산절 남쪽에 두 집만이 살았으나 지금은 주유소가 생겼고, 집이 네 채가 생겼음
- 속뜸 : 강산절 안쪽으로 있는 마을로 회관 밑이 됨.
- 아랫말 : 강산리 초입에 있는 마을.
- 웃말 : 강산리에서 위쪽에 있는 마을.
- 음달뜸 : 강산리 음달쪽에 있는 마을.
- 점말 : 건너말 동쪽에 있는 마을.
4. 기타지명
- 개지골 : 강산절 서북쪽에 있는 골짜기.
- 구름다리 : 아랫말 남쪽에 있는 들 옛날에는 구름다리가 있었으나 지금은 없어지고 시멘트 다리가 됨.
- 금사골 : 건너말 북쪽에 있는 골짜기
- 노루목고개 : 건너말에서 산성리 구리목으로 넘어가는 고개로 형상이 노루목 같다고 함.
- 노루실고개 : 강산에서 장속리 노루실로 넘어가는 고개.
- 도독골 : 웃말 서쪽에 있는 골짜기 옛날에는 도의심과 덕망이 높은 선비가 살았다고 함.
- 매봉 : 홍두봉 서쪽에 있는 산으로 전에는 매가 많이 서식하던 곳이라 함.
- 바우배기 : 황새쟁이 동쪽에 있는 들로 전에는 바위가 많았음.
- 상나무골 : 금사골 서쪽에 있는 골짜기. 샘이 있는데 둑 위에 향나무가 있었다고 함.
- 새보 : 강산리 앞 보청천에 보가 있었고, 오늘날 수리시설 보가 생겼으며, 그 물을 이용하여 보은읍에서 식수 이용과 더불어 농사를 짓고 있음.
- 성바골 : 강산 서북쪽에 있는 골짜기로 산성리에 있는 노고산성 바깥쪽에 있는 골짜기이므로 성밖골이라 부르건 것이 성바골로 되었음.
- 쇠고개 : 아랫말에서 산성리 구리목으로 넘어가는 고개로 쇠가 많이 났었다고 함.
- 장께미보 : 강산리 앞 보청천에 있는 보 교사리 앞 장께미들에 물을 대어 농사를 지음
- 홍두봉 : 웃말 서쪽에 있는 산으로 사봉우리가 커서 태봉이라고도 함.
- 황새쟁이 : 구름다리 동쪽에 있는 들. 황새가 많아 붙여진 이름
강신리(江新里)
1. 위치
면적 1.5㎢, 92가구 233명(1999년말). 본읍의 중부에 위치하며, 동은 성족리(聲足里), 서는 신함리(新含里), 남은 대야(大也), 어암리(漁岩里), 북은 종곡리(鍾谷里)에 접하고 있다.
2. 연혁
본래 보은군 산내면의 지역인데 1914년 행정구역 폐합에 따라 안양(安良), 와평(瓦坪), 신촌(新村), 점촌(店村), 독산(獨山)을 병합하여 강신리라 해서 보은읍에 편입되었다.
3. 자연마을
- 동매(獨山)마을 : 새말 서쪽에 마을로 앞에 독산이 우뚝. 1968년 경지 정리시 철거되고 지금은 한 집만 살고 있음.
- 새말(新村) : 외뿔 남쪽에 새로 이룬 마을
- 안양(安良) : 외뿔 북서쪽에 있는 마을로 지형이 살기 좋고 편안하다 함.
- 옹기점(店村) : 새말 서남쪽에 있는 마을로 옹기점이 있었음.
- 외뿔(기왓들, 瓦坪): 강신리에서 으뜸되는 마을로 기와집이 많았고, 충암 김정(金凈)선생의 강당을 지을 때, 기와를 제작한 일이 있었으며, 경주 김씨 집성촌임.
4. 기타지명
- 강신 약수(藥水) : 보은읍 강신2리 속칭 ‘안양’부락 남쪽 건너편 산골 안에 있는 샘. 샘이 있는 골짜기에 산소를 쓰면, 며칠 간 물이 나오지 않다가 다시나오는데 피부병에 효과가 있어 소문을 듣고 찾아오는 환자가 많다 함.
- 군감내(軍監山) : 궁갑내 산으로 둥그래 봉 서쪽에 있으며, 옛날 안북실 출신의 무관이 지나가다가 병력을 주둔시킨 일이 있었다고 함. ‘군감뫼’가 변하여 궁감내가 됨
- 독산(獨山) : -> 동그레 봉
- 둥그레 봉 : 외뿔 서쪽에 있는 산으로 산 모양이 둥글둥글하여 둥그레 봉이라 하고 외따로 떨어져 있어 독산(獨山)이라고도 함. 강신리 홍수 때, 장바우산에서 떠내려온 봉우리로 그 모양이 둥그렇게 생겨서 둥그레 봉.
- 뒷말랑 : 외뿔 북쪽에 있는 들로 전에 기와를 굽던 곳이라 함. 항상 습기가 있어 농사짓기에 좋은 땅을 말함.
- 종곡교 : 외뿔 남쪽에 있는 다리로 종곡리 입구에 있음. 마을 입구에는 마을 자라비가 우뚝 세워졌고, 성족리로 넘어가는 도로가 2차선으로 훤하게 뚫려있다.
5. 문화유적
- 보성 오씨 열녀문(宝城吳氏 烈女門)
강신리에 있는 경주인 김중은(金重殷)의 부인 보성 오씨의 열행을 기리기 위하여 세운 정문이다. 부인은 불행하게도 송사에 걸려 억울하게 옥에 갇힌 남편의 석방을 위해 백방으로 노력하다가 뜻을 이루지 못하자 식음을 전폐하고 두문불출하다가 숨을 거두었다. 1688년(肅宗 14년) 명정되어 종곡리에 세웠던 것을 1749년(英祖 25년)에 현 위치로 이전함.
- 난국정(蘭菊亭)
둥그레 봉 위에 있는 정자로 1945년에 세움. 옛날 선조들이 난국계라는 계를 조직하여 이곳에서 시를 읊었다고 하는데 후손들이 정자를 지어 난국정이라 함.
교사리(校士里)
1. 위치
면적 1.1㎢, 1,059가구 2,463명(1999년말). 본읍의 서쪽에 위치하며, 동은 이평리(梨坪里), 풍취리(風吹里), 서는 장속리(獐俗里), 남은 삼산리(三山里), 북은 강산리(江山里)에 접하고 있다.
2. 연혁
본래 보은군 읍내면 지역인데 1914년 행정구역 폐합에 따라 교동리(校東里), 사례리(士禮里), 정현리(旌峴里), 보촌(洑村)을 병합하여 교동(校洞)과 사례(士禮)로 이름을 따서 교사리(校士里)라 하였다.
3. 자연마을
- 골안 : 전신전화국 서쪽에 있는 마을로 골목이 길게 있으므로 ‘골안’이라고 부름
- 번마루 : 정문 고개 동쪽에 있는 마을. 예전에는 마루 만한 돌이 있어 그곳에 앉아 관속을 즐겼다 함.
- 사랫골 : 향교골 옆에 있는 마을. 조선 말엽에 많은 선비들이 살았다기도 하고 예전에 영해 박씨 선조가 거주하면서 예의를 갖추었다고 함.
- 장몽들 : 향교골 동쪽에 있는 마을. 꿩의 꽁지로 만든 빗자루를 많이 생산하던 곳이라 하여 붙여진 이름.
- 춘수골 : 향교골 동북쪽에 있는 마을 옛날에는 물레방앗간이 있었으므로 춘수(春水)는 만사택(滿四澤)이라 하여 ‘춘수골’이라 함.
- 향교골 : 정문 고개 북쪽에 있는 마을 보은향교(蕔恩鄕校)가 있음. 예전에는 보은향교에서 많은 유생들을 가르쳤다고 함.
4. 기타지명
- 남산 : 향교 남쪽에 있는 산.
- 송고개 : 사랫골에서 장께미로 넘어가는 고개. 옛날에는 소나무가 많아서 송고개라고 함.
- 엉금바위 : 바위 형태가 마치 거북이가 엉금엉금 기어가는 것처럼 생겼다 하여 ‘엉금바위’라고 함.
- 장께미들 : 장께미 앞에 있는 들녘 용수로가 길어서 장께미라고도 하고 수꿩인 장끼가 많이 놀았다 하여 장께미들 이라고도 함.
- 절골 : 향교골 북쪽에 있는 골짜기. 전에는 절이 있었음.
- 절골 소류지 : 절골 밑에 있는 못.
- 정문 고개 : 교사2리 천주교 성당 옛날에는 충신정문이 있었다 하나 오늘날흔적조차 없어짐.
- 태봉산 : 향교골 북쪽에 있는 산으로 옛날에는 봉화를 올렸던 곳이라고 함.
5. 문화유적
- 보은향교(報恩鄕校)
교사리 향교골에 있는 고적으로 조선 세종 때 창건되었다고 전해오고 있으며, 명륜당(明倫堂)은 대원군의 서원(書院) 철폐령 때, 상현서원(象賢書院)의 강당을 뜯어와 이축하였다고 함. 공자(孔子)를 위시한 오성십철(五聖十哲)과 송조사현(宋朝四賢) 및 우리나라 18현(현)의 위패를 봉안하고 초하루와보름마다 유림에서 제향을 올리고 있다.
충청북도 지방유형문화재 제 85호로 지정 보호되고 있다.
금굴리(金堀里)
1. 위치
면적 1.92㎢, 125가구 373명(1999년말). 본읍의 남쪽에 위치하며, 동은 월송리(月松里), 서는 지산리(芝山里), 남은 삼승면, 북은 수정리(水井里), 월송리(月松里)에 접하고 있다.
2. 연혁
본래 보은군 서니면(西尼面)의 지역으로서 고려(高麗)때 금을 많이 캤으므로 쇠푸니, 금굴(金堀)이라 하였는데 1914년 행정구역 폐합에 따라 은사리(隱士里)와 구량리(九良里)를 병합하여 금굴리라 하고 보은읍에 편입되었다.
3. 자연마을
- 건너말 : 쇠푸니 건너 새로 생긴 마을
- 구량(九良) : 아홉 성을 가진 사람들이 다투는 일없이 선량하게 살았다고 함.
- 새터 : 금굴 남쪽에 새로 생긴 마을.
- 은사뜰 : 쇠푸니 서남쪽에 있는 마을 옛날 소나무 숲 정자에 선비들이 숨어 지내던 곳을 일컬어 은사(隱士)라고 함.
4. 기타지명
- 가장 골 : 옛날 아이들이 죽으면 장사 지내는 골이라 해서 애장골 혹은 가장골이라고 함.
- 금곡월(金谷月) : 산세가 햇빛이 비칠 때 금빛이 나며 곱다 하여 붙인 이름.
- 못밑 들 : 삼승면 둔덕리 못 골 못 밑에 있는 들.
- 뫼골 : 분터골 못 위에 있는 묵뫼에서 유래하여 붙여진 골짜기.
- 바른가래 : 못밑 동남쪽에 있는 들, 들녘이 정사각형으로 넓은 들을 이루고 가래모양으로 생겼다고 함.
- 분터골 : 예전에 금이 나올 당시 터주는 금을 캐지 못하고, 외지 사람에게 빼앗겨 분하다해서 분터 골이라 하기도 하고 톱날같이 골이 많다 해서 ‘톱골’이라고도 함.
- 쇠푸니 저수지 : 쇠푸니 서남쪽에 있는 못.
- 안골고개 : 안말에서 쇠푸니로 넘어가는 고개
- 여우골 : 옛날에는 여우가 넘나들었다고 함.
- 윗골 : 은사들 위쪽에 있는 골짜기.
- 응봉 : 옛날 매들이 꿩 사냥을 했다고 함.
- 장고개 : 옛날 장에 다닐 때, 넘어 다니던 고개.
- 제실(祭室) 터 : 안씨(安氏) 사당이 있는 곳.
- 진탕골 : 마을 안쪽에 있는 골짜기. 술을 거르는 용수같이 습하고 질다 해서 진탕골이라 함.
- 큰두루 봉 : 작은 두루 봉 북쪽에 있는 큰 산.
- 표적제(表籍躋) : 세부 측량시 표시로 기준점을 둔 곳.
길상리(吉詳里)
1. 위치
면적 1.74㎢, 인구 80가구 209명(1999년말), 본읍의 남동쪽에 위치하며, 동은 내속릴면, 서는 어암리(漁岩里), 남은 탄부면, 북은 대야리(大也里)에 접하고 있다.
2. 연혁
본래 보은군 사각면(思角面)의 지역으로서 길상이라 하였는데. 1914년 행정구역 폐합에 따라 관동(官洞)을 병합하여 길상리라 하였다.
3. 자연마을
- 관골(官洞) : 길상 남쪽에 있는 마을 순홍 안씨(安氏)의 증시조 사패지지(賜牌之地)로 되어 있다고 함.
- 양지편(陽地便) : 길상 북쪽에 있는 마을로 양지편이 됨.
4. 기타지명
- 괴박골 : 웃골 서쪽에 있는 골짜기로 개의 형국이라고 하며, 소천황봉이라 하여 절경임.
- 귀고개 : 양지편에서 외속리면 구인리 긴다리로 넘어가는 고개. 동리에 오자면 이 고개를 넘어와야 된다고 함.
- 대밧봉 : 왕자봉 밑 동쪽에 있는 산으로 대밭이 있음.
- 덩덩바위 : 암소바우 북쪽에 있는 바위로 두들기면 ‘덩덩“소리가 난다고 함.
- 도장골 : 왕자봉 남쪽에 있는 골짜기
- 동산(東山) : 길상 동쪽으로 둘러싼 숲으로 소나무 숲을 이룬 작은 동산.
- 마배 : 육상이 동쪽에 있는 들, 지형이 하마비 형국이라 함.
- 버무기산 : 천황봉 북쪽에 있는 산으로 형국이 범의 목처럼 생겼다고 함.
- 비석묵골 : 양고개 동쪽에 있는 골짜기로 전에 비석이 있었다 함.
- 삼봉산(三峯山) : 길상2리 뒷산정상으로 기미독립 만세 운동으로 이곳 산정상에서 음력 3월 13일밤 자정을 기하여 고장의 이인하, 이준용, 이창선, 김용석 의사들이 만세를 불러옥고를 치룬 기록을 재판 기록으로 발췌하였고, 이를 증거로 독립유공자로 추서되기도 하였다.
- 솔아티 : 양고개 북쪼에 있는 등성이에 잔솔나무로 되어 있다 함.
- 암소바위 : 양지편 동쪽에 있는 바위로 암소 발자국이 있었다 하나, 도로 확장으로 없어짐.
- 양고개 :양지편에서 대야리로 넘어가는 고개.
- 옻샘 : 야지편 북쪽에 있는 약수터로 국도변에 있었으나 지금은 없어짐.
- 왕자봉(王字峯) : 양지편 서북쪽 산으로 산형이 王자 형국이라 함.
- 육상이들 : 왕자봉 밑에 있는 들로 지형이 육조판서 형국으로 집을 지으면 첫날밤 범이 주인을 물어갔다는 전설임.
- 음복골 : 관골 남쪽에 있는 골짜기, 옛날 전쟁이 나면 이곳에 들어가 엎드리면 사람이 보이지 않아 숨던 곳이라 함.
- 음지골돌 : 참 샘 북쪽 300m 지점에 있는 들. 햇빛이 잘 들지 않아 음지골이라 불렀는데, 현재 인가는 없고 밭이 되었음.
- 장장골 : 관골과 양지편 사이에 있는 골짜기 옛날 종구품(從九品)을 한 사람이 들어와 살았다고 함.
- 장터골 : 버무기 서쪽에 있는 골짜기. 전에는 이곳에서 장치기를 하였다고 함.
- 절골 : 관골 서쪽 100m 지점에 있는 골짜기에 절이 있었다고 함.
- 참샘 :양지편 남서쪽 500m 지점에 있는 샘으로 물이 시원타하여 ‘찬샘’이라 부르던 것이 변하여 ‘참 샘’이 됨
- 천왕봉 : 과골 뒤 서북쪽의 산으로 동네를 지켜주는 수호신이라고 함.
- 큰골 : 양고개 서쪽에 있는 골짜기.
노티리(老峙里)
1. 위치
면적 4.57㎢, 인구 55가구 188명(1999년말), 본읍의 서북쪽에 위치하며, 동은 중초리(中草里), 서는 내북면 하궁리(下弓里), 남은 용암리(龍岩里), 북쪽은 내북면 이원리(泥院里)에 접하고 있다.
2. 연혁
본래는 내북면의 지역으로서, 노티 고개 밑이 되므로 노티라 하였고, 내북면에 편입되었다가 1987년 1월 1일 행정구역 개편에 의하여 보은읍으로 편입되었다.
지금은 사과 단지 조성으로 부자마을이 되었고, 노티 저수지가 크게 건설되어 용암(龍岩), 장속(獐俗) 들녘에 전답들이 옥답이 되어 물 걱정을 하지 않아도 되게 되었다.
3. 자연마을
- 대추밭말(棗田洞) : 딴동네 북쪽에 있는 마을로 옛날 대추나무가 많았다고 하여 ‘조전동’이라고도 함.
- 딴동네(他洞) : 노티 남쪽에 외따로 떨어져 있는 마을.
- 중충말 : 큰말 남쪽에 있는 마을로 예부터 한집이 한 마을을 이루었다 하여 중충말이라고 함.
- 큰말 : 대추밭말 서쪽에 있는 마을.
4. 기타지명
- 까치목고개 : 큰말에서 하궁리 진골로 넘어가는 고개로 산이 까치의 머리처럼 생겼다 함.
- 까치실 : 갱치 서쪽에 있는 들로 까치 형상을 하고 있으며, 까치 목안에 있음.
- 갱치들 : 큰말 남쪽의 들로서 자갈이 많다 하여 갱지들이라고 하나 지금은 사과단지로 농가소득을 올리고 있음.
- 거먹바위 : 큰말 남쪽에 있던 큰 바위였으나 1980년 수해로 인하여 떠내려 감
- 노티고개 : 큰말에서 상궁리 궁뜰로 넘어가는 고개로 고개가 길고 높아서 넘어가다가 세월이 흘러 늙는다는 뜻에서 노티고개라 하며, 고개 형상이 노승이 바랑을 지고 있는 형상이라고 함.
- 노티저수지 : 불당골에 있던 작은 못이 지금은 현대식 저수지가 되어 5년 간의 대 역사 끝에 20여리 읍내까지 물 걱정을 하지 않고 농사를 짓게 되었다.
- 돼지봉산 : 딴동네 서쪽에 있는 산. 산봉우리가 돼지가 누워있는 형상이라고 함.
- 뒷강변 : 큰말 서쪽에 있는 들, 노티 뒤쪽으로 강변처럼 평평함.
- 모래봉 : 대추밭말 동북쪽에 있는 산으로 모래가 많고 황폐하여 나무가 자라지 않는다고 함.
- 모야골들 : 큰말 북서쪽에 있는 들. 공동묘지로 법주사 소유임.
- 바탕골 고개 : 대추밭말에서 중초계로 넘어가는 고개. 고개 정상에는 넓은 그늘이 있어 쉬었다 가는 고개.
- 밤나무골 : 큰말 서남쪽의 들인데, 밤나무가 무성했다고 함.
- 보지샘 : 보지바위 밑에 있는 약수로 피부병에 좋다고 하여 즐겼다고 함.
- 분모골 : 대추밭말 동쪽에 있는 골짜기로 숯을 구웠다고 함.
- 불당골 : 새봉 남쪽에 있는 골짜기로 절터가 있음.
- 블당골 고개 : 불당골 고개로 상궁리 건너말로 넘어가는 고개.
- 동굴러 죽은골 : 대추밭말 서쪽에 있는 골짜기로 이곳에서 나뭇꾼이 굴러 떨어져 죽었다는 고개.
- 산지당골 : 큰봉 동쪽에 있는 골짜기에 산제당이 있었음.
- 서낭거리 : 갱치 남쪽에 있는 들에 서낭이 있었음.
- 새봉산 : 대추밭말 북쪽에 있는 산. 옛날 큰 홍수가 나서 산에 물이 전부 잠겼으나 이 산봉우리만 새의 주둥이 정도만 남기고 물에 잠겼다고 전함.
- 선밧작도랑 : 불당골 남쪽에 있는 도랑으로 하천 중간의 바위 형태가 선반을 걸어놓은 것 같다하여 선받골도랑.
- 약물내기 : 대추밭말 동북쪽에 있는 골짜기로 약수터가 있었음.
- 위터 : 모아골 동쪽에 있는 들로서 마을 위쪽에 있는 넓은 들임.
- 작은 까지목 고개 : 까치목고개 옆에 있는 작은 고개로 큰말에서 수한면 율산리 밤송골로 넘어가는 고개임.
- 짚은골 : 대추밭말 북쪽에 있는 골짜기로 골이 깊고 험하여 대낮에도 어둡다고 함.
- 치실고개(주출고개) : 큰말에서 내북면 상궁리 주출로 가는 고개
5. 문화유적
- 한준철 송덕비
노티사과 단지를 조성하여 농가 소득증대에 공헌한 공로를 높이 찬양하고 기리기 위하여 동민의 이름으로 송덕비가마을 입구에 세워졌을 뿐 아니라 새마을 운동으로 부자마을을 이룩한 공적으로 대통령 훈장을 받기도 하였다.
누청리(樓淸里)
1. 위치
면적 2.33㎢, 인구 79가구 230명(1999년말), 본읍의 동쪽에 위치하며, 동은 외속리면, 서는 풍취리(風吹里), 남은 대야리(大也里), 북은 성족리(聲足里)에 접하고 있다.
2. 연혁
본래 보은군 산내면(山內面)의 지역으로 누각(樓閣) 밑이 되므로 누미태 또는 누저(누저)라 하였는데, 1914년 행정구역 폐합에 따라 강청리(江淸里)를 병합하여 누저리라 해서 보은읍에 편입되었다가 1987년 1월 1일 명칭 변경에 따라 누청리가 됨.
3. 자연마을
- 강칭이(江淸) : 누저 서남쪽에 있는 마을로 전에는 마을 앞으로 맑은 물이 항상 흘렀다고 함.
- 누저리 : 1987년 1월 1일 누청리로 명칭을 변경하기 전의 이름. 누밑이라고도 부름.
- 지막골 : 누저리 동남쪽 끝마을로 지막
4. 기타지명
- 고개넘어들 : 도감티 고개 너머에 있는 들.
- 도감티 : 누미태에서 오두목골로 넘어가는 고개. 옛날 복숭아 감나무가 많이 있던 고개라고 함.
- 서당골 : 누미태 동쪽에 있는 골짜기로 산제당이 있으며, 전에는 서당(서당)이 있었다고 함.
- 서당재 : 누밑 동쪽에 있는 산으로 옛날 서당에 다니러 넘어 다니던 고개라고 함.
- 수리넘골 : 삼두목골 남쪽에 있는 골짜기, 동리 뒤 못에서 내려오는 개울을 건너가 있는 고개라 함.
- 오두목골 : 오래실 남쪽에 있는 골짜기 까마귀머리 모양이라 함.
- 오래실 : 누미태 남쪽에 있는 골짜기 한 동네에 몇 집이 옹기 종기 모여 오순도순 산다하여 오래실이라함.
- 오봉산 : 서낭재 남쪽에 있는 산으로 산봉우리가 다섯 개 임.
- 절골 : 누미태 동북쪽에 있는 골짜기. 전에 절이 있었다고 함.
- 해쟁이 골 : 누미태 서쪽에 있는 골짜기.
5. 문화유적
- 누청리 충신문(忠䢻門)
임진왜란 때 중봉 조헌(趙憲)의 휘하 의병으로 금산 싸움에서 7백 의병과 함께 장렬하게 순절한 의병장 김성원(金聲遠)와 이여(李勵)의 충성을 기리고자 현종(顯宗)때, 김성원에게 의금부 도사(都事)를, 이여에게는 사헌부 지평(持平)을 추증하고 1717년 숙종(肅宗) 43년에 명정하였다.
- 사괴정(四槐亭)
누청리에 있는 경주 김씨(金氏와 전의 이씨(李氏) 종중 소유의 비지정 문화재. 조선 선조(朝鮮 宣祖) 임진왜란시 조헌(趙憲)을 따라 금산에서 장렬하게 전사한 김성원(金聲遠)과 이여(李勵)가 경주 김씨와 전의 이씨 두 문중의 친의를 대대로 이어지기를 기원하면서 창건하고 건물 네 모서리에 느티나무를 심어 사괴정이라 불렀다 한다. 1717년 숙종(肅宗) 43년 두사람 모두 충의로 명정(銘旌)되자 이 정자에 사액(賜額)하였다.
대야리(大也里)
1. 위치
면적 1.27㎢, 인구 33가구 102명(1999년말), 본읍 중심부에 위치하며, 동은 외속리면(外俗離面), 서는 성주리(城舟里), 남은 어암리(漁岩里), 길상리(吉詳里), 북은 강신리(江新里)에 접하고 있다.
2. 연혁
본래 보은군 사각면(思角面)의 지역으로서 큰 산 밑이 되므로 대미 또는 대야(大也)라 하였는데 1914년 행정구역 폐합에 따라 대야리라 해서 읍내면인 보은읍에 편입되었다.
3. 자연마을
- 아랫대미(下洞) : 대미 아래에 있는 마을 1974년 웃대미에서 도로변으로 이주하여 형성된 마을
- 웃대미(上洞) : 대미 위쪽에 있는 마을 대야리의 원부락이었으나 아랫대미로 이주하고 현재는 10여호가 살고 있음.
4. 기타지명
- 굴바위 : 웃대미 남쪽에 있는 바위에 굴이 있음.
- 나븐들 : 아랫 대야 앞에 있는 들
- 도래너덜 : 아랫대미 남서쪽으로 산 밑에 있는 너덜로 웃대미에서 보면, 돌아가게 되어 있음.
- 돌통모랭이 : 아랫대야 북쪽에 있는 모롱이
- 미루고개 : 아랫대미에서 외속리면 오창리로 넘어가는 고개. 전에는 미륵이 있었다고 함.
- 버무기골 : 웃대미 남쪽에 있는 골짜기로 범이 자주 나타났다고 함.
- 산제당골 : 아랫대미 북쪽에 있는 골짜기로 산제를 지냈음.
- 성재 : 대미에서 성주리로 넘어가는 고개. 삼년산성을 통과한다.
- 솔목도랑 : 대야리에 있는 도랑. 옛날에 홀아비가 있었는데 다른 여자들과 함께 빨래터에서 빨래를 하기가 부끄러워 소나무 숲 밑에 바위샘에서 혼자서 빨래를 하였다하여 솔목도랑이라고 함.
- 양고개 : 웃대미에서 길상리 양지쪽으로 넘어가는 고개. 이 고개를 깃점으로 대야와 길상리, 누청리의 경계지점이 됨.
- 원두박골(園頭谷) : 아랫대미 동쪽에 있는 골짜기로 전에는 원두밭이 있었음.
- 장수굴 : 대미 동쪽 삼년성에 있는 굴, 전에는 삼년성 안의 연못 물을 빼기 위한 수문이었다기도 함.
- 준호골 : 윗대미 동남쪽에 있는 골짜기로 옛날에 고려장을 하던 곳으로 알려져 있으며, 오늘날 공동묘지가 됨.
- 짐지당골 : 아랫대미 동남쪽에 있는 골짜기.
- 해정들 : 아랫대미 앞에 있는 들녘
봉평리(鳳坪里)
1. 위치
면적 1.2㎢, 인구 68가구 218명(1999년말). 본읍의 서쪽에 위치하며, 동은 교사리(校士里), 서는 용암리(龍岩里), 남은 수한면(水汗面), 북은 장속리(獐俗里)에 접하고 있다.
2. 연혁
본래 보은군 내북면의 지역인데 1914년 행정구역 폐합에 따라 내사막리(內士幕里), 외사막리(外士幕里), 도촌리(導村里)를 병합하여 봉평리라 하여 내북면에 편입되었다가 1987년 1월1일 행정구역 개편에 의하여 보은읍에 편입되었음.
3. 자연마을
- 도촌(導村) : 내사막과 외사막으로 통하는 길가의 마을. 처음에는 3~4호가 살고 있었으나,살기가 좋은 곳이라 하여 도를 닦는 선비들이 들어와 살기 시작하면서 도촌이라 하였음.
- 바깥사막(外士幕) : 사막 바깥쪽 마을로 전에 옻나무가 많아서 옻내무골이라고도 함.
- 사막(司幕) : 봉평리에서 으뜸되는 마을. 선비들이 많이 살았다기도 하고, 사방이 모두 막혀 물 나가는 곳이 보이지 않는다고 하여 사막이라고도 하고, 선비들이 많이 살아 사막이라고도 함.
- 아랫말 : 안사매기에서 아래쪽에 있는 마을.
4. 기타지명
- 가재도랑 : 안사매기와 바깥 사매기 사이에 있는 도랑.
- 거무주둥이 바위 : 동그락 사이에 있는 바위로 봉평리 마을이 생길 때, 하늘에서 거미가 줄을 타고 내려 왔는데, 이 바위가 거미 입에 해당된다고 함.
- 동그락산 : 도촌 남쪽에 있는 산으로 모양이 동그랗게 생겨서 동그락산이라 하며, 위에서보면 묘처럼 생겼다고 함.
- 바깥말 고개 : 도촌에서 바깥말로 넘어가는 고개
- 범대미 : 웃사매기의 서북쪽에 있는 골, 영경바위 사이에 묘를 썼는데, 이곳이 범의 혈이라고 함.
- 산지당골 : 웃사마기 뒤 범데미에 있는 골. 산제당이 있었으나 지금은 큰 소나무 한그루만 서있음.
- 안말고개 : 도촌에서 안사막으로 넘어가는 고개인데, 지금은 산밑으로 길을 다시 내어 돌아다니고 있음.
- 앞들 : 도촌 앞에 있는 들로 지금은 모두가 논으로 변했음.
- 월경바위 : 범데미 안쪽에 있는 바위로 거울같이 생겼다고 함.
- 옻샘 : 잔디밭 골에 있는 샘
- 잔디밭골 : 안사매기의 아랫말 뒤쪽의 골짜기
- 턱밑산 : 아랫말에 있는 산. 바로 마을 앞에 있다 하여 턱밑산
- 향나무샘 : 도촌에 있는 샘으로 향나무가 있어 향나무 샘이라고 하였고, 지금은 작은 향나무가 심겨짐
- 황새바위 : 앞산에 있는 바위로 모양이 황새처럼 생겼다 하여 황새바위라고 함.
- 후평고개 : 도촌에서 수한면 후평으로 넘어가는 고개.
산성리(山城里)
1. 위치
면적 2.9㎢, 인구 138가구 428명(1999년말). 보은읍 북쪽에 위치하며 동은 학림리(鶴林里), 서는 장속리(獐俗里), 남은 강산리(江山里)와 교사리(校士里), 북은 내북면(內北面) 서지리(西枝里)에 접하고 있다.
2. 연혁
본래 보은군 내북면의 지역으로 산성(山城)밑이 되므로 산성리, 잣미(栢峰)라 하였는데 1914년 행정구역 폐합에 따라 구이목리(九二目里)와 송정리(松亭里)를 병합하여 내북면에 편입되었다가 1987년 1월 1일 행정구역 개편에 의하여 산성1리(구이목, 송정)와 산성2리(잣미)로 나뉘어 보은읍으로 편입되었음.
3. 자연마을
- 구이목(銅項마을) : 구이목, 안구이목, 노루목, 불목, 절목, 큰목, 가장목, 난대목, 서낭목 등 9개가 있어 구이목이라고도 하며 구이목과 노루목의 2개와 이 마을에 골짜기 9개가 있어 구이목(九二目)이라고 한다.
- 송정(松亭) : 구이목 동쪽에 있는 마을로서 상주 황(黃)씨 집성촌이었다. 해방 전부터 50년간 잠종제조업으로 각광을 받던 황로관 씨의 본향이다. 동편으론 잠두혈인 산언덕에는 수백년 된 노송들이 발걸음을 멈추게 한다.
- 아랫말 : 마을 중앙을 가르는 골짜기 물을 중심으로 남쪽을 아랫말이라고 하고, 북쪽을 윗말이라고도 하며, 노고산성 밑에 곳을 상촌 논밑에 있다 하여 논밑이라고 한다.
- 잣미(栢峰) : 잣나무가 아름들이 나무들이 있었다고 전하며 잣나무로 홈을 파서 맞춘 마루(백인마루)가 60년대까지 보전되었으나 새마을 운동으로 헐리고 말았다. 본군에서 제일 먼저 새마을 운동에 불을 부쳤고 대통령 표창까지 받았던 선도마을이다. 특이한 사업으로 촉성재배를 시작한 것은 최기환이란 청년이 비닐하우스 재배법을 보급시키면서 농가소득증대사업에 눈을 돌리면서부터 새마을 운동은 이미 잣미마을에서부터 시작된 것이다. 잣미란 원래가 잣뫼였으나 구개음화로 되어 ‘잣미’가 된 듯하다.
4. 기타지명
- 거먹바위 : 산성리 1리에 있는 바위로 검다고 하여 거먹바위라고 함.
- 난대골 : 구이목 북서쪽에 있는 골짜기.
- 노루목 : 구리목에서 장속으로 넘어가는 고개. 고개가 노루목처럼 길게뻗쳤다고 함.
- 골짜기 : 마을에서노고산성을 바라보면서, 왼쪽으로부터 돼지박골, 성밑길, 섶밭, 금성골, 채털이봉, 사태골, 매봉재 등의 골짜기로 명명되어 있다.
- 동박골 : 안구이목 안쪽에 있는 골짜기.
- 돼지박골 : 잣미 서쪽에 있는 골짜기
- 두리봉 : 산성 서북쪽에 있는 산. 산정에서 아래를 내려다 보면 들녘이 매우넓다고 함.
- 매봉재 : 산성 동쪽에 있는 산으로 형상이 매의 모양을 하고 있음.
- 물봉 : 노고산성이 있는 샘으로 고장에 비가 안 오면 현감이 직접 제관이 되어 이곳 물봉에서 기우제를 지냈으며, 해방 후에도 수 년간은 기우제를 지낸 바 있다.
- 박골 : 큰다리골 동쪽에 있는 골짜기. 산성에는 바위가 많다고 하여 바위골이라고도 한다.
- 사태골 : 잣미 북쪽에 있는 골짜기로 새태가 많이 났음.
- 샘골 : 잣미 서북쪽 노고산성에 오르는 골짜기
- 성너머산 : 성재산 북쪽에 있는 산. 산의 위치가 마을에서보아 성너머에 있음.
- 성안 : 노고산성, 허물어진 옛 성이 있음.
- 장승배기 : 잣미 북쪽에 있는 땅으로 장승이 지키고 있는 수호신으로 두 장군이 서 있다. 이것으로 보아 남쪽이나 북쪽에도 장승이 있었을 것으로 추정되며, 더욱 백제성과 신라성의 교전지 였음을 뒷받침 하고 있다.
- 합방태 : 잣미 서북쪽에 있는 산 부안 임씨네 묘가 많음.
5. 문화유적
- 노고산성(老姑山城)
보은군 보은읍 산성리 잣미마을 북쪽을 에워싸고 있는 성곽으로 내북면 서지리 앞을 가르고 있는 보청천을 경계로 해발 396m의 석축. 노고산성과 4㎞ 지점에 떨어진 삼년산성은, 구전에 의하면 이곳은 백제의 산성으로 삼년산성에 주둔한 신라군과 교전하여 패망하였다고 하여 내외성이 거의 파괴되었다. 성곽 정상에는 물봉이 있는데 독특한 구조로 물이 샘솟고 있다. 이곳에서 출토한 도자기 수백 점은 공주 박물과에 기증하였다고 한다. 산성 정상에서는 1919년 기미독립만세 때, 이 고장 이용기 의사가 청장년들을 모아 음력 4월 8일 밤 자시를 기하여 독립만세를 외치게 된 것이 우리 고장 만세운동의 효시가 되었다. 오늘날 이의사를 기르는 비가 내북면 애향 동지회 이름으로 마을 입구에 세워져 있다. 3백여년전부터 부안 임씨 집성촌이었으나 오늘날 10여 성씨가 살고 있는 부촌 마을이 되었다. 옛지리서에는 함림산성(含林山城), 백봉산성(栢峯山城)이라고도 기록되어 있다.
- 백봉사(栢峰柌)
산성 1리에 있는 사당. 을사사화(乙巳士禍)시 화(禍)를 당해 이천계(李天啓)의 위패를 봉안한 곳으로 1864년(고종5년)에 건립하였고 비지정 문화재로서 유림들이 제향을 올리고 있음.
- 의사이용기선생의열비(義士李龍基先生義烈碑)
우리 고장 기미만세 때, 노고산성 정상에서 음4월8일 밤 자시에 독립만세를 외친 이용기선생의 충효를 기리기 위하여 1987년 4월 보은유도회와 내북면 애향동지회에서 세운 희혈비가 산성2리 입구에 있다.
- 이천계 묘비(李天啓 墓碑)
산성1리 마을 입구에 조선 명종 때, 장령(掌令)을 지내고 을사사화 때 화를 입은 신평 이씨괴당 이천계의 묘비를 옮겨 묘각을 만들어 후손들이 보전하는 비지정 문화재로 값진 유산이며 비문은 이조판서 송환기(宋渙箕)씨가 지었다.
- 황노관선생공적비(黃魯寬先生功績碑)
산성 송정 입구 동편으로 감싸고 있는 잠두혈 선상에 송림에는 상주 황씨 19세손 송포 황노관 선생의 공적비가 우뚝 세워져 있다. 누에 씨알 개량을 위하여 50평생을 바친 선생을 기리기 위하여 1966년 9월 충청북도 잠업관계자 일동의 이름으로 세운공적비이다. 선생은 보은향교 전교로부터 고장의 발전을 위하여 수많은 업적을 남기셨고 값진 삶으로 1965년 음력 2월 30일 (70세)에 별세하였다.
- 황윤동추모비(黃潤東膇慕碑)
경기중학 2회 졸업 후, 일제 때 군수로 임관 되어 장단, 거창, 합천, 거창군수를 지냈으며, 초대 대통령 사무장일 지냈다는 죄목으로 납치되어 오늘날 생사를 모르고 있어 고령으로 사망하였을것으로 보아 후손들이 유품을 모아 묘를 만들고 추모비를 세움.
합천군수 당시 선정을 베풀었기에 오늘날 합천시에서는 함벽루상에 공적비를 세워 지방문화재로 보전하고 있다.
- 황종우선생송덕비(黃宗愚先生頌德碑)
조선국 의정부 혜민원(보건복지부) 사무관 봉직하였고, 관직에서 물러난 후 1700년경 뜻을 바꿔 경기도 용인 서천리에서 보은으로 천거하였으므로 상주 황씨 보은의 중시조가 되었다. 송정 마을 자락을 감싸고 있는 잠두혈에 묘가 있고, 밑에 종중 소유의 송덕비가 세워져 있음.
삼산리(三山里)
1. 위치
면적 6.12㎢, 인구 1,364가구 4,422명(1999년말). 본읍의 중심으로 서쪽에 위치하며 동은 이평리(梨坪里), 서는 장신리(長新里), 남은 죽전리(竹田里), 북은 교사리(校士里)에 접하고 있다.
2. 연혁
본래 보은군 읍내면의 지역인데 1914년 행정구역 폐합에 따라 동변리(東邊里), 서변리(西邊里), 하장리(下獐里)를 병합하였고 보은군의 옛 이름인 삼산의 이름을 따서 삼산리라 하여 보은읍에 편입되었다.
3. 자연마을
- 구시장(싸전거리) : 삼산3리에 있는 마을. 전에는 5일장이 서서 구시장이라 하고 쌀의 상거래가 이루어져, 싸전 또는 싸전거리라고도 함.
- 구장터 : 삼산1리 마을. 전에는 구장터라 하고 채소의 상거래가 많이 행해져 채소전이라고도 함.
- 까막삼거리 : 삼산4리 구경찰서 서쪽 ‘까막샘’이 있는 마을
- 동편 : 왕산미 동쪽에 있는 마을.
- 싸전거리 : 삼산리 구시장으로 전에는 장이 섰으나 현재 상가로 신축되어 쌀가게 및 과일 가게들이 들어섬.
- 왕산미(王山尾) : 삼산리에서 으뜸되는 마을 뒷산. 형이 王자 형국이라 함.
- 월미도 : 남다리와 동다리 사이, 제방 밑에 있는 마을. 해방 직후 이곳에 도살장이었으며, 장마가 져서 집들이 물에 잠기면 도살장 건물만 보였기 때문에 월미도라 불렀다고 함.
- 주차장마을 : 삼산리에 있는 마을로 시외버스 주차장이 있어 생긴 이름
- 채소전(구장터) : 삼산리에 있는 마을로 채소전이 주로 섰기 때문에 채소전이라고 부름.
4. 기타지명
- 까막샘(烏泉) : 동헌(東軒) 서쪽 제방 밑에 있는 우물. 이곳에 큰 느티나무가 있고 버드나무도 여러그루 있었는데, 돌림병으로죽은 애기시신을 버드나무에 걸어 놓았는데, 까마귀들이 애기시신을 파먹으려고 날아들고 하였으나 느티나무 밑의 샘물은 전보다 물 맛이 좋아져 까막샘이라 했다고 하며, 또한 동헌(東軒)의 감옥 뒤의 샘이었기 때문에 ‘감옥샘’이 변하어 ‘까막샘’이라고 했다고 함
- 까막샘 둥구나무거리 : 삼산4리 까막샘옆 둥그나무가 있는 제방
- 남다리 : 왕산미의 남쪽에 있는 다리
- 동다리 : 완산미의 동쪽에 있는 달.
- 사산(蛇山) : 산이 길게 뻗쳐 뱀 같이 생겼으므로 사산이라 함.
- 삼산(三山) : 옛 보은현의 읍호(邑號)로 관아(官衙) 주위에 있는 세 봉우리를 말하는 것으로 주산(主山)은 뱀의 형상이라 하여 사산(蛇山), 안산은 개구리 형상이라 하여 와산(蛙山 : 죽전리 소재) 우백호(右白虎)에 해당하는 산은 멧돼지 형상이라 하여 저산(豬山 : 장신리 소재. 이산은 쥐와 같다 하여 (?산이라고도 불렀음)이 있으나 좌청룡(左靑龍)이 없으므로 세산만 갖춘 고을이라 하여 삼산이라 하였다고 전해진다.
- 삼산교 : 왕산미의 서남쪽에 있는 다리로 1942년에 준공 후 수차례 보수타가 수해로 다시 준공하였음.
- 십마지 : 보청천과 삼산, 종곡, 누청리에서 나오는 물과 동다리 밑에서 서로 만나게 되는데 十자로 만난다 하여 삽마지라 부름
- 안장터 : 서다리를 경계로 죽전과 삼산링서 장이 번갈아 섰는데, 삼사쪽의 장터가 읍내 안쪽에 있기 때문에 안장터
5. 문화유적
- 보은동헌(蕔恩東軒)
삼산리의 옛 보은경찰서 자리에 있는 조선시대 관아로 건립연대는 확실하지 않으나 1860년(철종11)에 증수한 사실이 있어 창건시기는 훨씬 이전으로 보인다. 충청북도 유형문화재 제115호로 지정되었다.
건물은 정면 7칸 옆면 3칸 겹처마 팔작지붕의 익공계 건물로 목조기와집이다. 동현은 조선시대 각 지방 수령들이 집무하던 곳이였으나, 1907년(융희1) 보은군에서 일어난 의병활동을 진압하기 위하여 출동한 일본헌병대가 강점한 후 계속하여 경찰관서로 사용하여 왔다. 1983년 완전 해체 복원되었다. 동헌 앞에는 관내 각지에 흩어져 있던 역대 현감 또는 군수들의 송덕비 또는 선정비 6개를 1988년 옮겨 세워져 있다.
성족리(聲足里)
1. 위치
면적 2.97㎢, 인구 39가구 116명(1999년말). 본읍의동쪽에 위치하며, 동은 내속리면(內俗離面), 서는 강신리(江新里), 남은 누청리(摟淸里), 북은 종곡리(鍾谷里)에 접하고 있다.
2. 연혁
본래 보은군 산내면(山內面)의 지역으로서 소나무가 많이 있으므로 소라리 또는 송촌(松村)이라 하였는데 변하여 성족(聲足)이 되었고 1914년 행정구역 폐합에 따라 백인리(白忍里)를병합하여 성족리라 하고 보은읍에 편입되었다.
3. 자연마을
- 백인(百忍)말 : 소라리 남쪽에 있는 마을. 백 번 참는다는 뜻으로 지방의 학자들이 충암선생의 강당에서 교훈삼던 말이 마을 이름이 됨
- 성족리(聲足里) : 처음에는 소라리 송촌이라 불러왔으나 우암 송시열 선생이 이곳에 왔다가 훌륭한 충암선생이 태어난 곳이라 대현지후가성족(大賢之後家聲足)이라 해서 성족이 됨.
- 소라리(松村) : 성족리의 다른 이름으로 성족이라 부르기 전 소나무가 많았다 하여 붙여진 이름.
4. 기타지명
- 가마실들 : 소라리 서남쪽에 있는 들. 옛날 이곳에 가마를 타고 가던 사람이 물에 빠져 죽은 일이 종종 있어 가마실들이라 칭함.
- 갑봉(甲峰) : 소라리 동쪽에 있는 산. 부락에서 볼 때 갑방(甲方)에 있다 함.
- 강당(講党) : 충암 김정 선생이 제자들을 가르치기 위해 지은 건물로 백인말에 위치함.
- 굴바우 : 굴바우골에 있는 바위로 큰바위 밑에 굴이 있음.
- 데릉골 : 소라리 북쪽에 있는 골짜기에 큰 묘가 있어 대능골이라던 것이 변함
- 성족 명천(名泉) : 보은읍 성족리 속칭 ‘소라리’ 부락에서 조선 중종때 명신 충암 심정선생의 비각이 있고 비각뒤에 우물이 있다. 선생의 어머니 김해 허(許)씨가 1485년 성종 16년 5월에 선생을 잉태하고 있을 때 손수 판 우물이라 한다. 유명한 일화로는 나라가 평화롭고 살기 좋을때는 물이 맑고 물맛이 좋으나 나라가 어지러울 때는 물이 나오지 않거나 더러워 먹을 수 없었다고 한다. 참으로 신비스렁 일화였다.
- 승지골 : 갑봉 서쪽에 있는 골짜기로 나무들이 경치가 좋아 승지(賸地)골이라 함.
- 작은장바우고개 : 소라리에서 내속리면 중판리안턱골로 넘어가는 고개. 옛날 김장암이라는 선비가 벼슬을 버리고 수양차 머물던 곳이라 함.
- 장구봉 : 소라리 서남쪼에 있는 산으로 산혈이 장구처럼 생겼음.
- 장바우골 : 소라리 동북쪽에 있는 골로 장바우 고개로 가는 골.
- 황산날골 : 소라리 동북쪽 갑봉 옆 골짜기.
5. 문화유적
- 성운묘소 및 묘갈(成運墓所 -墓碣)
성족리 산35번지 속칭 가마실이 있는 대곡 성운(大谷 成運)의 묘소와 묘갈로 충청북도 지방기념물 제 70호로 지정된 문화재다. 묘소는 서남향(西南向:丑坐坤向)이며, 봉분 둘레 22.7m, 높이 2m로 비교적 크며 묘앞에 높이 1.27m, 너비 60cm, 두께 19cm의 그의 당질인 우계성혼(牛溪 成渾)이 짓고 쓴 묘표비(墓表碑)가 있는데 중훈대부수사재감정성공지묘(中訓大夫守司宰監正成公之墓)라 크게 쓰고 옆에 작은 글씨로 숙인경주김씨부장(淑人慶州金氏祔葬)이라 음각되어 있다. 1585년(선조18)에 세운 것이다. 묘소에서 150m 떨어진 길옆에 그의 묘갈비가 있는데, 비명은 좌승지대곡성선생묘갈명(左承旨大谷成先生墓碣銘)이라고 전서로 음각되어 있고, 비문은 우암 송시열(优庵 宋時烈)이 짓고 동춘 송준길(同春 宋浚吉)이 쓰고문곡 김수항(文谷 金壽恒)이 전한 것으로 1663년(현종 4)에 세운 비로 비각(碑閣)을 세워 보호하고 있다.
- 김정 유허비(金淨 遺墟碑)
성족리에 있으며, 조선 중종(李朝 中宗)때 학자이자 정치가였던 충암의 유허비, 비명은 충암 김선생유허비(沖庵 金先生遺墟碑)이고 비문은 찬성 송환기(贊成 宋煥箕)가 지었다고 함. 조선 순조(朝鮮 純祖)때 세움.
- 석천암(石泉庵)
성족리에 있는 경주 김씨 중종소유의 비지정 문화재. 조선 중종(朝鮮 中宗)시 기묘사화(己卯士禍)에 화를 입고 사사된 명현(名賢) 충암이 학문을 닦고 가르치던 곳이다.
- 영해박씨 열녀문(寧海朴氏 烈女門)
성족리에 있는 달성인 서호순(徐鎬淳)의 처 영해박씨의 정렬을 기리기 위하여 1884년에 세운 정문 영해 박씨는 15세에 출가한 후 얼마 되지 않아 남편이 죽자 따라 죽고자 하였으나 늙은 시부모를 봉양하는 것이 도리라고 결심하고 시부모를 극진히 모시기를 10여 년, 어느날 밤중에 도적이 들어와 강폭을 노리는 지라 간신히 피하여 위기를 모면했으나, 남편에 대한 절개를 지키기 위하여 식음을 전폐하여 10일만에 죽고 말았다.
- 김가기묘(金可幾墓)
조선 선조때 노성현감(魯城縣監) 경주인(慶州人) 김가기(金可幾)와 그의 부인 전주유씨(全州柳氏)가 안장된 묘로 대곡 성운(大谷 成運)묘 아래에 있다. 그는 정유재란시 맨손으로 왜적과 대항하다 순국하였으며 부인 유씨는 남편을 엄호하려다 동시에 순절하여 통정대부승정원좌승지겸경연참찬관(通政大夫承政院左承旨兼經筵參贊官)과 숙부인(淑夫人)으로 증직(贈職)되었다.
그의 묘 동남쪽 200m 지점에는 역시 정유재란시 왜적을 칼로 죽이고 적의 손에 더렵혀진 자신의 유방을 도려내고 순절하여 의열(義烈)이라 명정된 그의 자부 증정부인(贈貞夫人) 고령신씨(高靈申氏)의 묘가 있다.
성주리(城舟里)
1. 위치
면적 7.35㎢, 인구 113가구 369명(1999년말). 본읍의 중심부에 위치하고 있으며, 동은 대야리(大也里), 서는 이평리(梨坪里), 남은 어암리(漁岩里), 북은 풍취리(風吹里)에 접하고 있다.
2. 연혁
본래 보은군 사각면의 지역인데, 1914년 행정구역 폐합에 따라 성저리(城底里)와 주교리(舟橋里)를 병합하여 성주리라 해서 보은읍에 편입되었다.
3. 자연마을
- 방천안마을 : 성밑 서북쪽에 있는 마을 풍취리 마루뜰 앞 냇가를 경계를 방천 안쪽에 위치함.
- 배다리(舟橋)마을 : 성밑 북쪽에 있는 마을로 혀재의 성주리 1반 지형이 배를 맨 형국이라 함.
- 새마을(新村) : 배다리 북쪽 도로 건너에 있는 마을 1970us대 후반도로 확장공사로 주변의 가옥들이 헐리자 현재 위치로 이주되어 생긴 마을이었으나 1998년 8월 수해로 마을이 전파되어 터를 다시 돋구고 제방을 높혀 새로 신축된 마을이다.
- 성밑(城底) : 성주리에서 으뜸되는 마을로 혀재 성주리 2반이됨. 삼년성 아래쪽에 있음.
4. 기타지명
- 검은바우(黑岩) : 검은 들에 있었던 바위. 경지정리할 때, 땅에 묻혔던 것을 다시 찾아 보은상고 정문앞에 옮겨 놓았음. 검은바우들이란, 성밑 서북쪽을 말함.
- 도장골 : 성밑 서북쪽에 있는 골로 오늘날 보은군청이 자리하고 있음
- 땅고개 : 성밑에서 이평리로 넘어가는 고개로 공동묘지가 있음.
- 망둑 : 배다리 동남쪽의 산 밑에 있는 논, 삼년산성에서 망을 보던 곳이었다고 함.
- 배뜰모롱이 : 성주리에서 이평리로 가는 중간에 있는 모롱이
- 사보들 : 성밑 북쪽에 있는 들로 보를 막아 물을 공급하여 개척해서 만든 들이라고했음.
- 서무니 : 성밑 동남쪽에 있는 골짜기로 삼년산성의 정문인 서문이 있음.
- 솔밭고개 : 성밑에서 이평리 보은중학교 뒤로 넘어가는 고개.
- 오그막골 : 성밑 서남쪽에 있는 골짜기. 지금은 골짜기는 없어지고 성주리에서 어암리에 이르는 들녘을 말함.
- 진등고개 : 성밑에서 어암리 새터로 넘어가는 고개 등성이가 길다고 해서붙인 이름.
- 청룡고개(靑龍峴) : 성밑에서 배다리로 넘어가는 고개로 청룡이 나왔다는 굴이 있어서 청룡고개라 했었으나 지금은 없어 짐.
수정리(水井里)
1. 위치
면적 1.02㎢, 인구 83가구 259명(1999년말), 본읍의 서쪽에 위치하며, 동은 월송리(月松里) 서는 수한면(水汗面), 남은 금굴리(金掘里), 북은 죽전리(竹田里)에 접하고 있다.
2. 연혁
본래 보은군 읍내면(邑內面)의 지역으로서 큰 우물이 있으므로 수정(水井)이라 하였는데, 1914년 행정구역 폐합에 따라 수정리라 해서 보은읍에 편입되었다.
3. 자연마을
- 바깥수정(外水井) : 수정리의 바깥쪽에 있는 마을
- 아랫말 : 안수정 아래쪽에 있는 마을
- 안수정(內水井) : 수정리의 안쪽에 있는 마을
- 잔대너머 : 웃말 동남쪽에 있는 마을
- 중간말 : 안수정의 중간에 있는마을
4. 기타지명
- 강낭골 : 왕재봉 동쪽에 있는 골짜기로 절벽이 심한 낭떠러지가 많은 골짜기라서 강낭골이라고 부름
- 구누고개 : 안수정과 바깥수정 사이에 있는 골짜기, 아홉 번 돌아서넘는다 하여 붙여진 이름
- 귀경골 : 안수정 북쪽에 있는 골짜기. 너무 조용하여 귀가 놀랠 정도라 하여 귀경골이라 함.
- 밤고개 : 안수정에서 죽전리 잠실로 넘어가는 고개.
- 범의산 : 바깥수정 동쪽에 있는 산으로 범상을 하고있음.
- 사당고개 : 바까수정에서 범의 산응로 넘어가는 고개로 고개 너머에 사당이 있음.
- 쑥고개 : 바깥수정에서 지산리 수목골로 넘어가는 고개. 고개가 험하여 머리를 숙이고 넘었다 하여 ‘숙고개’ 혹은 ‘쑥고개’라 함.
- 염성골 : 안수정과 바깥수정 사이에 있는 골짜기에 옹달샘이 있는데 소금물 같이 짜서 붙여진 이름.
- 왕재봉 : 안수정 서북쪽에 있는 산으로 제일 높아서 붙여짐
- 욱골 : 바깥수정 서쪽에 있는 골짜기로 마을 위쪽에 위치함.
- 잣밭버덩 : 안수정과 바깐수정 사이에 있는 버덩으로편을 짜서장치기를 했다 하여 ‘잣밭’이라고도 함.
5. 문화유적
- 삼길 묘비(朴三吉 墓碑)
수정리 솔밭에 있는 조선연산군(燕山君)때 문신(文臣) 면천인(沔川人) 백비(白屝) 박삼길(朴三吉)의 묘비, 대광보국승록대부(大匡輔國崇祿大夫), 의정부 좌의정겸 영경연사 관상감사치사봉조하(議政府 左議政兼 領經筵事 觀象監事致仕奉朝賀) 송시열이 비문을 지었음
신함리(新含里)
1. 위치
면적 2.53㎢, 인구 101가구 331명(1999년말), 본읍의 북동쪽에 위치하며, 동은 강신리(江新里), 서는 산성리(山城里), 남은 풍취리(風吹里), 북은 학림리(鶴林里)에 접하고 있다.
2. 연혁
본래 보은군 산내면(山內面)의 지역으로서 함림(含林) 남쪽으로 새로 된 마을임으로 새함림 또는 신함림이라 하였는데 1914년 행정구역 폐합에 따라 구함리(舊含里), 감동리(甘東里)를 벼합하여 신함리라 해서 보은읍에 편입되었다.
3. 자연마을
- 가장골 : 원신함 북쪽에 있는 마을. 가까우면서도 긴 골짜기라 하여 붙여진 이름
- 감동(甘東) : 신함리에서 으뜸되는 마을 동쪽에는 감나무가 많이 있음.
- 갱변 : 원신함 서쪽에 있는 마을. 전에는 시냇물이 흘렀다 함.
- 넘은골(越谷) : 신함1리 북쪽에 있는 마을 월곡(月谷)이라고도 함.
- 뒷골 : 감동 동쪽에 있는 마을
- 소막골 : 감동 남쪽의마을. 작은 집들이 많아 소막골이라 칭함.
- 원신함(元新含) : 새함림으로 신함리에서 중심되는 마을
- 집너머 : 감동 북쪽에 있는 마을. 전에는 이곳이 마을이었으나 지금은 없어지고 전답이 됨.
4. 기타지명
- 가장골고개 : 가장골에서 학림으로 넘어가는 고개.
- 고무실재 : 넘은골에서학림 고무실로 넘어가는 고개.
- 골안 : 원신함 남쪽에 있는 들.
- 구레들 : 넘은골 앞 남쪽에 있는 들
- 넘은골못 : 넘은골 마을 입구에 있는 작은 못.
- 도덕골 : 신함2리에서 강신2리 종곡리로 넘어가는 골짜기. 지나가는 행인을 도둑이 많았다고 함.
- 동안이들 : 골안 남쪽에 있는 들톀으로 지금은 3천평 단위로 학림에서읍내 이평까지 전역이 농지정리가 잘 되었음.
- 매봉재 : 원신함 동쪽에 있는 산으로 봉우리가 매가 앉아 있는 것같은 형상을 하고 있음.
- 뱀골 : 넘은골 북쪽 골짜기로 뱀이 많이 서식했었다고 함.
- 병풍바우 : 부처당골 뒤쪽에 있는 바위가 병풍처럼 생겼음.
- 부처당골 : 비재못 동남쪽에 있는 골짜기. 성황당에 부처의 석상을 모시고 있음.
- 북당골 : 불당이 있던 골짜기
- 비재 : 요왕골 남쪽에 있는 골짜기 새가 날아가는 형국임 비재골에 못이 있음.
- 상주재 : 넘은골에서 종곡리 비니질로 넘어가는 고개, 고개 넘어 산소가 많아 상주들이 많이 넘던 고개라 하여 붙은 이름
- 새반덕산 : 감동 동남쪽에 있는 산으로 이곳에서 여우가울면, 출가한 딸이채반을 가지고와 음식을 나누어 먹는 일이 있어 채반덕이라 하던 것이 구전에 의해 새반덕이 되었음.
- 서낭고개 : 감동에서풍취리 진설미로 넘어가는 고개에 서낭이 있었음.
- 어투리 : 매봉재 서쪽으로 뻗어 있는 골짜기 산이 높고 골짜기가 길어 항상 어두운곳이라 하여 붙여진 이름.
- 여수골 : 비재못 동남쪽에 있는 골짜기. 옛날 유행병이 돌아 아이가많이 죽으면 매장하는 곳으로서, 시체를 파먹기 위해 여우가득실거렸다고 함.
- 요왕골 : 원신함 남쪽에 있는 골짜기 요왕(수증왕)을 위하던 샘이 있는 골짜기. 이곳에 못이 있음.
- 작은고개 : 감동에서 부처당골로 넘어가는 고개.
- 장군봉(蔣軍峰) : 감동 동쪽에 있는 산. 장군대좌혈이 있다 하며, 이곳에 묘를 쓰게 되면 장군이 태어난다고 함.
- 진도골 : 뱀골 동쪽의 골짜기로 뱀이 많이 지나다니던 골짜기
- 큰고개 : 감동에서 강신리 안양으로 넘어가는 고개.
- 텃샘 : 두둑골 밑에 있는 샘으로 동네 앞터에 있음.
- 황소고개 : 원신함에서 감동으로 넘어가는 고개 산등성이가 황소 같이 생겼다 하여 붙여진 이름.
5. 문화유적
- 열녀문터(烈女門址)
감동 북쪽에 있는 옥낭(玉娘)열녀문터, 지금은 네 개의 주춧돌만 덩그렇게 남아 있음.
어암리(漁岩里)
1. 위치
면적 2.24㎢, 인구 100가구 304명(1999년말). 본읍의 동쪽에 위치하며, 동은 길상리(吉祥里), 서는 죽전리(竹田里), 남은 월송리(月松里), 북은 풍취리(風吹里)에 접하고 있다.
2. 연혁
본래 보은군 사각면(思角面)의 지역으로서 어룡골 또는 어암이라 하였는데, 1914년 행정구역 개편에 따라 성신리(城新里), 탁동(濯洞), 만지리(晩旨里)를 병합하여 보은읍에 편입되었다.
3. 자연마을
- 맘마루(晩旨) : 어암 남쪽에 있는 마을. 산으로 둘러 싸여 있어서 바깥소식이 늦다 하여 만지 마을
- 새터 : 어암 동쪽에 새로 생긴 마을
- 어룡곡(漁龍谷) : 오늘날 어암1리가 되며, 사각면사무소(사각면사무소)가 있었고, 뒷산으로 길상으로 가는 범욱재, 삼봉재, 새골재가 있음.
- 작은 탁골 : 탁골의 작은 마을
- 탁골(濯洞) : 어암 서쪽에 있는 마을로 맑고 깨끗한 물이 흐르고 있다고 하여 탁골이라 함.
4. 기타지명
- 공밭골 : 뒷골 돌쪽에 있는 골짜기. 콩밭이 많아 콩밭골이라 하였고 또한 공씨 소유의 밭이었다고 하여 ‘공밭골’이라 부름
- 답앞들 : 어룡골 서북쪽에 있는 들. 돌리들이라고도 부름.
- 도란말 : 생여바우 동쪽에 있는 골짜기로 솔밭을 돌아서 간다고 함.
- 뒷골 : 어룡골 동쪽에 있는 골짜기 동네 뒤쪽에 위치함.
- 만선암 : 어용골에 있는 절 (주지 김수원)
- 맘마루 고개 : 어룡골에서 맘마루로 넘어가는 고개
- 밀개봉 : 탁골 서북쪽에 있는 산. 봉우리가 밀개처럼 생겼다 하며, 마을을 지켜주는 수호신 산.
- 범익재 : 오룡골에서 외속리면 길상리 양지편으로 넘어가는 고개. 옛날 범이 이곳을 많이 다녔다고 해서 ‘범목재’ ‘범우재’라고도 부름.
- 북문이골 : 삼년성의 북문이 있는 골짜기.
- 산지당터 : 어룡골 동남쪽에 있는 터에 산제당이 있었음.
- 삼봉재 : 어용골에서외속리면 길상리 관골로 넘어가는 고개로 봉우리가 셋임.
- 새골재 : 어룡골에서 탄부면 신동리 새골로 넘어가는 고개.
- 새우바위 : 잔돌이 많아서 새우바위라 함.
- 생여바위 : 어룡골 동쪽에 있는 골짜기로 상여집이 있음.
- 소죽댕이 : 어룡골 동쪽에 있는 골짜기. 동리가 번창할 때 소를 많이 먹이던 곳으로 ‘시죽골’이라고도 함.
- 아미지못 : 삼년산성 안에 있는 연못터. 바위에 아미지(蛾眉池) 석자가 새겨져 있음.
- 장승배기 : 탁골 동네를 감싸고 삼년성으로부터 내려온 산예 장승을 세웠던 곳임.
- 찬샘 : 탁골 서쪽에 있는 샘. 사계절 찬물이 나온다 하여 찬샘.
- 홍골(檢谷) : 탁골 동남쪽에 있는 골짜기로 단풍이 유난히 곱게 물들어 홍골이라고도 함.
- 홍골못 : 새터못이라고도 하는데 1945년 보를 막아 농경지 2만여 평에 농사를 짓게 되었고. 새터들, 송산이들이라고도 함.
5. 문화유적
- 삼년산성(三年山城)
보은읍 어암리, 성주리, 풍취리, 대야리 경계에 있는 옛 성으로 470년 (신라 자비왕 13년)에 3년동안 축성한 산성으로 486년에 개축. 길이 1680m 산성의 기초 벽쌓기, 돌치성, 수문, 등에서 독특한 방법을 사용한 우리나라 최고의 성이다. 사적 제235호로 지정되어 복원중에 있으나 예산부족으로 완공까지 요원한 실정으로 안타까울 뿐이다.
- 백송(白松)나무
어암리 탑골 뒤에 있는 나무. 천연기념물 104호. 높이 11m 둘레 2m 나뭇가지 길이 5~7m정도, 이 나무는 조선 정조때 사람으로 송명흠(宋眀欽)의 문인으로 1779년 (正祖3년 己亥)에 도의 추천을 받아 선공부봉ㅇ사에 특별히 임명되었으나 취임하지 않고 오직 학문연구에만 몰두한 김상진(金相進) 선생이 1792년 (正祖 16년 壬子) 중국에 다녀올 때 종자를 가지고 와서 심었다고 함.
- 보은사(蕔恩寺)
오정산 삼년산성 안에 있는 사찰. 1902년 10월에 창건하였고 1941년 박경하(朴鏡荷)가 중창하였다. 태고종에 속해 있으며, 주지는 조웅제(趙雄濟)스님이었다.
6. 전설
장사로 이름난 남매가 홀어머니를 모시고 살았다. 남매는 모두 건강하고 억세기로 말하면, 태산이라도 들고 천근바위를 움직일 힘을 자랑했다.
그런 가운데 남매중에 누가 더 힘이 센가 우열을 가릴 수 없었다. 오빠가 커다란 바위를 들어 올리면, 누이는 바위를 손으로 쳐서 산산조각을 낸다. 날이면 날마다 남매는 힘자랑을 하지만 승부를 가릴 수가 없었다.
이를 다 못한 어머니는 “너희 남매는 천하장사로다. 매일 같이 힘자랑을 하다같 끝이 없겠으니, 오빠는 굽높은 나막신을 신고, 송아지를 몰고 서울을 다녀오너라. 그리고 오빠가 서울을 다녀오는 동안에 돌을 날라다 산의 능선을 따라 성을 쌓도록 하여라”
이 시합에서 이긴 사람은 진 사람의 목을 치도록 하라는 시합이었다. 너무나 잔인한 시합이었다. 시합 결과에 따라 아들이건 딸이건 한 사람은 죽어야 한다.
딸은 성광을 다 쌓아 올리려는 순간이었다. 아들은 보이지 않는다. 어머니는 초조한 순간이었다. 그렇다면 아들을 살려야 된다는 생각이 들었다. 이것이 어머니의 생각이었다.
어머니는 딸이 문짝을 만들려는 순간에 “네 오라비가 졌구나?” 하면서 새참이나 먹고 하도록 하였다. 뜨거운 팥죽을 먹도록 하여 지체토록 하였다. 그러는 가운데오빠가 도착하였다.
시합에서는 문짝을 달지 못하였기 때문에 딸은 시합에서 지고 말게 된 것이다.
“애라 아무리 언약이 중하기로서니 딸을 죽일 수 없다”고 애원하였지만, 아들은 냉담하였다. 세상에서 제일 가는 장사가 되려는 순간 언제든지 누이 동생 때문에 방해가 되었다고 생각한 오빠는 누이 동생이지만 죽이지 않을 수 없었다.
오빠에게 목숨을 구걸하기보다 죽는 것이 결과에 승복하는 길이라고 생각한 누이동생은 홀로 남은 어머니를 잘 봉양토록 유연을 남기고 오빠의 칼에 찔려 죽어 갔다는 전설이다.
월송리(月松里)
1. 위치
면적 2.78㎢, 인구 109가구 342명(1999년말). 본읍의 동남쪽에 위치하며, 동은 어암(漁岩), 길상리(吉祥里), 서는 수정리(水井里), 금굴리(金掘里), 남은 탄부면, 북쪽은 이평리(梨坪里)에 접하고 있다.
2. 연혁
본래는 보은군 사각면(思角面)의 지역으로서, 산이 곶으로 되었으므로 달고지, 또는 월송(月松)이라 하였는데 1914년 행정구역 폐합에 따라 용천리(龍川里), 용주리(龍舟里), 용승리(龍升里) 일부를 병합하여 월송리라 해서 보은읍에 편입되었다.
3. 자연마을
- 배다리(龍舟里) : 월송 서북쪼에 있는 마을. 용천이 남쪽에 있어 홍수 때 배가 정착하였다고 함.
- 새터말 : 용천에 딸린 새로 생긴 마을.
- 용천(龍川) : 배다리 서북쪽 마을로 용이 승천하였다 함.
- 월고지 : 배다리 동남쪽에 있는 마을로 산 끝이 쑥 내밀어 ‘곶’을 이루고 있으므로 월고지라고 함.
4. 기타지명
- 굴바우 : 월고지 동쪽에 있는 바위에 굴이 있음.
- 금강이산 : 월고지 동북쪽에 있는 산으로 옛날 금이 나오던 산이라 함.
- 됭개골 : 월고지 서남쪽에 있는 골짜기로 된서리가 일찍 내린다.
- 드므깨 : 용촌 앞 남쪽에 있는 들로 다른 들보다 수확이 두배난다고 함.
- 목골 : 배다리 동쪽에 있는 골짜기로 못이 하나 있어 ‘못골’이라고 하던 것이 변한것임.
- 무재미 : 배다리 남쪽의 들녘으로 홍수시 하류하는 물이 많다 함.
- 불탄골 : 새골재 남쪽에 있는 골짜기, 옛날에 불상을 모신 단이 있어 ‘불단골’이라 하던 것이 변한것임.
- 비루모퉁이 : 용천 북쪽에 있는 모롱이로 벼랑이 매우 심함.
- 새골재 : 워고지에서탄부 평각리 새골로 넘어가는 고개.
- 서낭댕이 : 월고지 동북쪽에 있는 골짜기에 서낭당이 있음.
- 서낭재 : 월고지에서 안골로 넘어가는 고개.
- 수자들 : 배다리 동남쪽에 있는 들로 물이 흔하고 물이 오래 보존되기 때문에 수자들.
- 요댕이골 : 월고지 남쪽에 있는 골짜기가 허리띠를 한 것처럼 길다 하여 붙은 이름.
- 요댕이재 : 월고지에서탄부면 사직리 새말로 넘어가는 고개.
- 자동차바위 : 월고지 북쪽에 있는 바위가 자동차처럼 생겼음.
- 장판골 : 월고지 북쪽에 있는 골짜기로 전에는 이곳에서 장치기를 하였다 해서 붙은 이름.
- 횟골 : 월고지 동쪽에 있는 골짜기로 전에는 이곳에서 회를 구었음.
5. 문화유적
- 송덕각(頌德閣)
김진묵(金振黙)의 선행을 기리는 비를 보호하기 위하여 세운 건물로 비명은 정삼품비서승김공진묵씨영세불망비(正三品祕書丞金公振黙氏永世不望碑)로 1930년에 세운 것이며, 비각은 1932년에 건립한 것이다.
이평리(梨坪里)
1. 위치
면적 6.33㎢, 인구 296가구 971명(1999년말). 본읍의 동쪽에 위치하며, 동은 성주리(城舟里), 서는 삼산리(三山里). 남은 죽전리(竹田里), 월송리(月松里), 북은 풍취리(風吹里)에 접하고 있다.
2. 연혁
본래 보은군 읍내면의 지역으로서 지형이 배처럼 생겼으므로 뱃들 또는 주평(舟坪)이라 하였는데 1914년 행정구역 개편시 이평리라 하였다.
3. 자연마을
- 뱃들(梨坪 舟坪) : 옛날 동네가 형성될 즈음에 큰 전나무가 있었는데 그 형상이 돛대 같아서 배 모양을 떠올려 주평(舟坪)이라 했다가 후에 이평리라 고쳤음.
4. 기타지명
- 도장골 : 뱃들 동쪽에 있는 골짜기로 골이 깊고 후미져 도둑들이 살았다 함.
- 문앞들 : 뱃들 서쪽에 있는 들로 마을 앞에 있음.
- 뱀군거리 : 쑤안들 서북쪽에 있는 거리로 뱀이 많이 살았다 함.
- 보은문화예술회관 : 본래 논이었으나 토지를 구입하여 매릭하였고, 웅장한 문화센터를 신축하였음. 뒤로는 아파트가조성되어 마을을 이루었고, 보은중학교 입구에는 의명종합병원이 자리잡고 있다.
- 쑤안들 : 뱃들 서북쪽에 있는 들로 수렁이 많았음.
- 용운사(龍雲寺) : 뱃들 남쪽에 있는 들에 절터가 있는데 용이 구름을 타고 오른 자리라 함.
- 전나무 샘 : 군청 밑에 있는 샘으로 큰 전나무가 있었다 함.
- 하꼬방터 : 이평리 버드나무 밑에 있던 조그만 가게 자리
용암리(龍岩里)
1. 위치
면적 2.16㎢, 인구 66가구 182명(1999년말). 본면의 서쪽에 위치하며, 동은 봉평리(鳳坪里), 서와북은 노티리(老峙里), 남쪽은 수한면(水汗面)에 접하고 있다.
2. 연혁
본래는 내북면의 지역으로서 , 용바우가 있었으므로 용바우 또는 용암(龍岩)이라 하였는데. 1914년 행정구역 폐합에 따라 상용리(上龍里), 대비리(大庇里), 수남리(水南里)를 병합하여 용암리라 하고 내북면에 편입되었다가 1987년 1월 1일 행정구역 개편에 의하여 보으늡에 편입 됨.
3. 자연마을
- 궝말 : 무내미 서북쪽에 있는 마을. 다섯 채의 집이 있어 모든 일을 행함에 있어 본말으르 공따라 갔다 해서붙인 이름이라고도 하며, 마을이 동그랗게 움푹 들어간 곳에 있어서 ‘구멍말’이라던 것이 변하여 ‘궝말’이 되었다고 함.
- 대비(大庇) : 용암 서쪽에 있는 마을. 옛날 대나무가 많았음. 전에는 자연부락중 가장 큰 마을이었으나, 현재는 가장 작은 마을이 됨.
- 무내미(文岩, 水南) : 궝말 서쪽에 있는 마을로 딸부자 마을이라고 하였음. 전에는 노티저수지 물이 마을 뒤로 해서 수하면으로 넘어갔다 하여 ‘수남’이라고도 하였음.
- 에덴촌마을 : 하용암 남쪽에 있는 마을. 처음에는 외따로 떨어진 곳에 교회만 있었으나 교인들이 모여 살면서 마을을 이루게 되자 에덴촌이라 부르게되었다. 현재 교회는 원용암으로 이전하였음.
- 하용암(下龍岩) : 대비 남쪽에 있는 마을, 전에 용바우가 있었음.
4. 기타지명
- 각골 : 무내미에서 대비 사이에 있는 골짜기
- 노죽골 : 용암리에 있는 골짜기로 노루가 많았다 함.
- 돼지봉 : 용암리 산으로 산돼지가 많이 살았다고 함.
- 두들기들 : 워용암 동쪽에 있는 들녘으로 제방 밑에 있음.
- 비들목고개 : 무내미에서 수한면 산척리로 넘어가는 고개
- 사거리 : 원용암 서쪽에 있는 거리로 상초, 노티, 용암, 보은으로 갈라지는 길목임.
- 산비알재 : 무내미에서 수한면 병원리로 넘어가는 고개
- 서낭나무 : 용암리입구에 있는 나무로 예전에는 사람들이 이곳을 지나다가 돌을 던져 소원을 빌었다고 함.
- 솔모랭이 : 대비에서 노티로 가는 길목에 있는 모롱이.
- 왕재날등 : 무내미 앞에 있는 등성이.
- 작은대비 : 대비 뒤에 있는 골짜기.
- 용암산 : 원용암 동쪽에 있는 산.
- 줄골 : 원용암 북쪽에 있는 골짜기. 골이 줄지어 있음.
- 판사터 : 용암 위쪽에 있는 터. 옛날 가난한 사람이 살고 있었는데 그 집 아들이 무척 똑똑하여 마을 사람들의 도움으로 공부를 하여 후에 판서가 되었다고 함. 현재는 논이 되었음.
- 황새고개 : 용암리에 있는 고개로 날씨가 찌푸덩거리고 이 고개에 황새가 모여들면. 비가 온다고 해서 붙인 이름
장속리(獐俗里)
1. 위치
면적 2.53㎢, 인구 95가구 300명(1999년말), 본읍의 북서쪽에 위치하며, 동은 산성리(山城里), 교사리(校士里), 서는 용암리(龍岩里), 남은 봉평리(鳳坪里), 북은 중초리(中草里)에 접하고 있다.
2. 연혁
보은군 내북면의 지역으로서 지형이 노루의 머리처럼 생겼으므로 노루실, 또는 장곡(獐谷)이라 하였는데 1914년 행정구역 폐합에 따라 모정리(毛丁里), 내지동(內池洞), 소지동(小池洞)을 병합하여 장속리라 하여 내북면에 편입되었다가 1987년 1월 1일 행정구역 변경에 의하여 보은읍에 편입되었다.
3. 자연마을
- 쇠저울(小池洞) : 노루실 동남쪽에 있는 마을로 뒷산 모양이 저울대처럼 생겼음.
4. 기타지명
- 겅금바우 : 산직골 동쪽에 있는 바위, 앞산에 겅금이 나는 바위가 있다 하여 겅금바위라 함.
- 덧두니 : 노루실 동북쪽에 있는 골짜기, 태봉산 밑에 있는 골로서 아들을 낳으려고 덧두리를 하였던 곳이라 함.
- 마상골 : 노루실 동쪽에 있는 골짜기, 논에 큰 수렁이 있었는데 이곳에서 소가 논을 갈다 수렁에 빠져 죽었다고 함.
- 멍석바위 : 쇠저울 북쪽에 있는 바위, 모양이 멍석처럼 생김.
- 산직골 : 노루실 동북쪽에 있는 골짜기로 신평 이씨 종증의 묘를 관리하던 사람이 살아온 집이 있어 붙인 이름.
- 시라니 : 노루실 서북쪽에 있는 골짜기로 이리가 자주내려왔다고 함.
- 시모골 : 노루실 서북쪽에 있는 골짜기. 옛날 신평 이씨 선조중 이몽경이라는 사람이 부모님이 돌아가시자 움막을 짓고 3년간 시묘를 살았다 하며 이를 기리기 위해장속마을 입구에 효자열녀문이 세워짐.
- 안골고개 : 쇠저울에서 노루실로 넘어가는 고개. 음짓말에서 안말로 가는 고개를 말함.
- 오두래골 : 골짜기 모양이 까마귀 머리를 닮았다고 함.
- 욱골 : 쇠저울 북쪽에 있는 골짜기. 강산리로 넘어가는 길 가운데 가장 높은 고개.
- 장속소류지 : 노루실 북쪽에 있는 못으로 수해로 인하여 유실되어 보수가 요망되고 있다.
- 층량이들 : 시모골 남쪽에 있는 들. 총잡이가노루를 잡아 상감께진상하러 가다가 쉬었다는 곳임.
- 태봉산(胎峰山) : 산직골 동쪽에 있는 산으로 임금의 태가 묻혔다고 전하나 이름도 모르고 있음. 마을에서 올려다 보면 동그란 산으로 저수지 위쪽이 됨.
5. 문화유적
- 이몽경 효열문(李夢慶 孝烈門)
장속리 입구에 있는 정문, 신평인 이몽경은 부모를 섬김에 있어 효성이 극진하였으며, 5년간 병환중인 아버지를 간호하는데 하늘에 뜻이 닿아 “죽은 참외덩굴에서 참외가 달렸고, 옥천 강가에 얼음이 갈라져 한겨울에 잉어가 솟아 올라” 잡아다가 봉양했다는 일화가 있다. 세월은 흘러 부친이 사망하자 3년간 시묘살이를 하였다 하며, 그 효성을 기리기 위하여 선조(宣祖)때 명정되었다 한다. 1645년 인조(仁祖) 23년에 후손에 의하여 증수하였다고 한다.
남양 홍씨는 신평인 이취신(李就新)의 부인으로 천성이 단아하고 열행이 돈독하여 1792년 영조(英祖) 5년에 명정되었고 이몽경의정문 옆에 나란히 비를 세워 현재에 이르고 있다.
장신리(長新里)
1. 위치
면적 2.01㎢, 인구 466가구 1,622명(1999년말), 본읍의 서쪽에 위치하며, 동은 삼산리(三山里), 서는 수한면(水汗面), 남은 죽전리(竹田里), 북쪽은 봉평리(鳳坪里)에 접하고 있다.
2. 연혁
본래 보은군 읍내면의 지역인데 1914년 행정구역 폐합에 따라 신촌(新村), 피촌(皮村)과 수한면의 운천리(云川里) 일부를 병합하여 장신리라 하였다. 경찰서, 교육청, 한전, 국도유지보은사업소가 있음.
3. 자연마을
- 비룡소(飛龍沼) : 신촌 서쪽에 있는 마을, 마을 입구의깊은 냇가에 웅덩이가 생겨 용이 놀다가 승천하였다고 함.
- 신촌(新村) : 장신리에서 으뜸되는 마을.
4. 기타지명
- 비룡소고개 : 신촌에서 비룡소로 넘어가는 고개.
- 장신교 : 비룡소 남쪽에 있는 다리.
- 청소산 : 비룡소 동쪽에 있는 산으로푸른 소나무가 많다 하여 붙여진 이름으로 ‘청송’이 와전된 것임
- 청소아래들 : 청소 밑에 있는 들녘
5. 문화유적
- 성미정(成美亭)
장신리비룡소 절벽 위에 있는 정자. 박영권(朴永權)의 효행을 가상히 여겨 뜻있는 인사들이 계를 조직하여 성미계라 하였고, 그의 아들 박기종(朴起鍾)이 선친의 덕을 기리고자 1967년 성미계의 협력으로 정자와 효자비각(孝子碑閣)을 세웠음.
종곡리(鍾谷里)
1. 위치
면적 4.83㎢, 인구 88가구 221명(1999년말). 본읍의 북동쪽에 위치하며, 동은 내속리면, 서는 학림리(鶴林里), 남은 강신리(江新里), 성족리(聲足里), 북은 산외면(山外面)에 접하고 있다.
2. 연혁
본래 보은군 산내면(山內面)의 지역으로 북처럼 생긴 종산(鍾山)이 있으므로 북실 또는 종곡이라 하였는데 1914년 행정구역 폐합에 따라 종동리(鍾東里), 종남리(鍾南里), 월안리(月岸里)를 벼합하여 종곡리라 하였다.
명종(眀宗)때 대곡(大谷) 성운(成運) 선생이 이곳에 살면서 남명(南溟) 조식(曺植), 화담(花藫) 서경덕(徐敬德), 토정(土亭) 이지함(李之菡)과 함께 산수(山水)를 즐겼다고 함.
3. 자연마을
- 다라니(월안말) : 종곡 동남쪽 마을에 앞산이 달 모양을 하고 있음.
- 동편말(鍾東里) : 종산 동쪽에 있는 마을.
- 모정골(茅亭谷, 鍾南洞) : 종산 남쪽에 있는 마을.
- 서당골 : 종남동에 있는 마을로 서당이 있었음.
- 종서말 : 종산 서쪽에 있는 마을로 삼성동이라고도 함.
4. 기타지명
- 감동이골 : 삼성동 서쪽에 있는 골짜기로 신함리 감동 마을 이름을 딴 것.
- 감정이고개 : 삼성동에서 신함리 감동으로 넘어가는 고개
- 곱냉이 고개 : 종남동에서 산외면 문암리 곱냉기로 넘어가는 고개. 비옥한 땅으로 곡식이 배로 난다고 함.
- 구룡티(九龍티) : 중동말에서 내속리면 하판리 늘그니로 넘어가는 고개.
고개가 구불구불하여 용이 움직이는 것 같다하여 구룡티라고 하고 산의 형국이 아홉 마리의 용이 승천하는 기상이라고도 함.
- 금덕봉 : 다라니 북쪽에 있는 산.
- 놋점골 : 수저골 동쪽에 있는 골짜기로 놋그릇을 만들었다 함.
- 덕고개 : 삼성동에서 학림리 대바위로 넘어가는 고개가 언덕처럼 생겼음.
- 독적골 : 미역골 북쪽에 있는 골짜기 지형이 장독처럼 생김
- 등물골 : 삼성동 서남쪽에 있는 골짜기로 예날에 물이 맑고 한적한 곳이어서 여름 더위에 등목하기 좋았다고 함.
- 들오니 : 삼성동 동북쪽에 있는 들. 저수지 안으로 쑥 들어가 있는 들.
- 듬바우 : 바위 틈 사이에 바위가 끼어 있다고 해서 틈바위라 불리다가 듬바위로 됨.
- 미역골 : 종남동 북쪽에 있는 골짜기. 미역 감던 골이 있음.
- 북산(鍾山) : 부종골 북동쪽에 있는 산으로 산형이 종처럼 생겼음.
- 선바위 : 삼성동 서북쪽에 서있는 바위.
- 수저골 : 종남동 동편 말 사이에 있는 골짜기. 이곳에 물을 가둘 곳이라 하여 수저골 이라 하기도 하고 또한 형상이 수저와 같다고도 함.
- 수철령(水鐵嶺) : 종남에서 내속리면 북암 시장터로 넘어가는 고개 나무가 없다 하여 무수목 이라고도 부른다 하나 본말은 ‘무쇠목’이 변한 것임
- 작은다라니(小月岸) : 삼성동 남쪽에 있는 골짜기로 모양이 반달 같다고 함.
- 종곡저수지 : 옛날 아홉 마리의 용이 살았다 하여 구룡지(九龍池)라 불려 오다가 1969년 저수지를 만든 후 종곡 저수지라 칭함.
5. 문화유적
- 김기서 효자문(金基瑞 孝子門)
종곡에 있는 경주 김씨 종증 소유의 정문, 김기서의 효행을 기리기 위하여 1867년 ??4년에 명정 1870년 동몽교관조봉대부에 추증되었다.
- 김민태 효자문(金玟泰 孝子門)
종곡리에 있는 정문, 경주인 김민태는 효성이 지극하였고 부모님 병환시에는 밤을 지새워 간호했고 목욕재계하고 기도하는 등 지극한 효행을 하였고 덕행으로 후학들을 가르쳤다고 함.
- 김을식 묘비(金乙湜 墓碑)
종곡리에 있는 고려(高麗) 공양왕(恭嚷王)때, 판군기시사(判軍器侍事)를 지낸 경주인 김을식의 묘비, 조선 중기 때 6대손 승지(承旨) 가기(可畿)가 짓고 그의 아들 참판(參判) 덕민(德民)이 쓴 묘비가 오래되어 판독이 어려움으로 17대손 기진(基震)이 짓고 18대손 범구(範九)가 쓴 비를 다시 세움.
- 고령 신씨 의열문(高靈 申氏 義烈門)
종곡리에 있는 정문, 고령 신씨는 대사헌 졸제신식(捽薺申湜)의 딸로 경주인 참판(參判) 김덕민의 부인이다. 정유재란때 피난 도중 왜적을 만나자 적의 칼을 빼앗아 적을 찔러 죽이고 적의 손이 범한 자신의 유방을 도려내고 순절하였다. 1598년 선조 31년에 적을 죽였으니 충의(忠義)요 남편에 대한 정절(貞節)을 지켰으니 열(烈)이라 하여 의열(義烈)이라 명정되였다.
- 모현암(慕賢庵)
경주 김씨 종증 소유의 비지정문화재, 조선 명종(明宗)때 산림학파(山林學派)의 거두였던 대곡 성운(大谷 成運)과 종산 김천부(鍾山 金天富)가 은거하며, 학문을 닦았던 자리에 1887년 고종(高宗) 27년에 후학들이 두분을 사모하여 모현암이라 현판하였다.
- 판사공재실(判剚公齋室)
경주김씨 종증 소유의 비지정 문화재, 고려 판군기시사(判軍器侍事) 김을식(金乙湜)의 재실로 전면 5칸 옆면 2칸의 목조와가 팔작지붕으로 1961년에 중창한 건물이다.
- 세강재(世講齋)
경주 김씨 소유의 비지정 문화재, 김민태가 후생들을 훈육하던 곳인데, 그의 효행이 지극하고 학문이 깊어서 많은 제자들을 가르쳤다. 제자들이 은사의 덕을 기리기 위하여 강당을 건립하니 삼성동(三省洞)에 있다 하여 삼성재(三省齋)라 하였다. 후예 세강재라 고쳐 부른다.
- 의령남씨 효부문(宜寧南氏 孝婦門)
경주 김씨 소유의 정문, 효부 의령 남씨의 행적을 기리고자 세운 정문이다. 남씨는 공섭의 딸로 효자 김기서의 아들 극태(極泰)의 부인으로 시부모님을 정성껏 봉양하여 그 사실이 조정에 보고되어 1907년 고종(高宗) 44년에 명정(銘旌)되었다.
- 세덕사(世德柌)
경주인 판도판서 장유(將有)의 14세손 복찬을 비롯하여 4대의 일곱 분의 위패를 봉안한 제당이다.
6. 전설
- 종산
보은군 보은읍 동북쪽에 위치한 마을로 흔히 “북실”이라 부르는 마을이다. 이 마을 뒤에 북산(鍾山)이라는 작은 산이 있는데 옛날부터 이 산에서 북소리가 은은히 들리면 이 마을에 세거하고 있는 경주 김씨 문중에서 과거에 합격했다는 사람이 나왔다고 한다. 그리하여 북소리가 들리는 산을 “북산”이라 하고 마을이름을 “북실”이라 부르게 되었다고 한다. 그런데 조선중엽 현종(顯宗 2)때 이 마을에 시주를 왔던 젊은 중이 마을의 선비에게 쫓겨난 앙심으로 야밤에 종산에 올라가서 마을의 지혈을 끊고자 산봉우리를 파헤치니 학 한 마리가 하늘로날아올라 갔다고 하는데 그 뒤부터 북소리가 들리지 않게 되었다고 한다.
7. 기타
- 종곡팔경(1)
약수정(藥水井), 선유암(仙遊岩), 삼성봉(三省峯), 도림원(桃林院), 월안봉(月岸峯), 금덩봉(錦德峯), 구룡담(九龍潭), 모현암(慕賢庵)
- 종곡팔경(2)
- 종산고송(鐘山古松) : 북산바위 위에 홀로 서있는 늙은 소나무 모습
- 대곡청풍(大谷凊風) : 대곡선생이 살던 모현암 주위에서 불어오는 맑은 바람
- 철령귀운(鐵嶺蘬雲) : 수철령고개 위에 무심히 모여드는 구름 모습
- 덕봉조운(德峯朝雲) : 금덕봉의 해돋을 때 구름모습
- 월안제경(月岸霽景) : 다라니의 비가 그치고 개인 하늘의 광경
- 도림춘화(桃林春花) : 도림이 산의 가득히 피는 봄꽃
- 선암초적(仙岩樵笛) : 선바위의 나무꾼이 피리부는 모습
- 삼산약천(三山藥泉) : 한모금 마시면 폐부까지 시원한 삼산약수
죽전리(竹田里)
1. 위치
면적 7.7㎢, 인구 459가구 1,728명(1999년말) 본읍의 남쪽에 위치하며, 동은 월송리(月松里), 서는 수한면(水汗面), 남은 수정리(水井里), 북은 삼산리(三山里)에 접하고 있다.
2. 연혁
본래 보은군 읍내면의 지역으로서, 1914us 행정구역 폐합에 따라 잠곡리(蚕谷里), 광암리(廣岩里)를 병합하여 죽전리라 하였다.
3. 자연마을
- 광암마을 : 남산 밑 서쪽에 있는 마을로 옛날 이곳에 빛을 내는 들이 있어 지금의 죽전1리 1,12반을 광암이라 하였음.
- 동지말 : 잠실 남쪽에 있는 마을로 형태가 둥지 같다고 해서 붙여진 이름이었으나 변하여 ‘동지말’이 됨
- 우시장통 : 보은읍 남산 동쪽에 있는 마을로 보은군 유일한 가축시장인 우시장이 서던 곳이어서 우시장통이라고 함.
- 잠실 : 남산 남쪽에 있는 마을로 옛날부터 이곳은 산과 들이 뽕나무밭으로 형서되어 누에고치기를 많이 하였으며, 지형이 누에 형국이라 함.
- 죽전(竹田) : 보은읍 남쪽에 치우친 마을로 남산에 대나무가 많이 자생하여 대밭을 이루었기에 죽전(竹田)이라 함. 대밭말이라고도 부른다.
4. 기타지명
- 가재골 : 죽전 서쪽에 있는 골짜기로 가재가 많았다고 함.
- 광암보 : 죽전 과암과 장신1리를 가로질러 막은 보
- 남산 : 보은읍의 남쪽에 있는 산으로 충혼탑이 세워 짐.
- 망고개 : 죽전리에서 수정리로 넘어가는 고개로 옛날에 장군들이 진을 치고 망을 보던 고개라고 함.
- 서낭바우 : 죽전에 있는 바위로 아기 못낳는 사람이 이곳에서 빌면, 아기를 낳는다고 하여 ‘아기바위’라고도 함.
- 왕자봉 : 남산 남쪽에 있는 산으로 가장 높은.
- 욱골 : 잠실 서쪽 위에 있는 골짜기로 원래 윗골이라 하던 것이 차츰 와전되어 ‘웃골’이 됨
- 욱골샘 : 잠실 서쪽 욱골에 있는 샘으로 바위틈에서 물이 나옴.
- 은사돌 : 죽전리 일대에 있는 들로 면적이 약 80정보이다. 옛날에 숨은 서비가 많이 살았다고 함
- 의싯들 : 잠실 동남쪽에 있는 들. 지주들이 땅을 독점하고 있을 때, 나라에 청원하여 허가된들이라 불려진 이름.
- 죽전교 : 죽전에 있는 다리로 길이 30m였으나, 다시 헐어내고 1989년에 큰 다리를 놓고 교량명을 남다리로 고쳤음.
중동리(中東里)
1. 위치
면적 8.67㎢, 인구 42가구 124명(1999년말). 본읍의 북쪽에 위치하며, 동은 신함리(新含里), 서는 강산리(江山里), 남은 이평리(梨坪里), 북은 학림리(鶴林里)에 접하고 있다.
2. 연혁
본래 보은군 산내면(山內面)의 지역으로서, 동안이 중간이 되므로 중동(中東)이라 하였는데, 1914년 행정구역 폐합에 따라 상동(上東)과 하동(下東)을 병합하여 중동리라 하였다.
3. 자연마을
- 건너말 : 새터 남쪽의 마을로 동안이 건너에 있음.
- 상동(웃말) : 중동 위쪽에 있는 마을.
- 새터마을 : 하동에서 새로 된 마을
- 하동 : 중동 아래쪽에 있는 마을
4. 기타지명
- 구름다리들 : 하동 서남쪽의 들로 진흙이 많아 ‘구렁다리’라고도 함.
- 능금들 : 웃말 동남쪽에 있는 들로 동네에서 보면 능같다 하여 생긴 이름.
- 동안이 들 : 중동리 일대의 들녘으로 옛날에는 신라와 백제의 완충지대였다고 전해옴.
- 말무덤들 : 하동 동남쪽의 들로 신라때 말무덤이 있었다고 함.
- 바우배기들 : 하동의 북쪽 들로 논 가운데 바위가 박혀 있음.
- 새수멍들 : 상동 남쪽에 있는 들. 새로운 수로가 생겨싸고 함.
- 푯대거리 : 하동 남쪽에 있는 들. 세부 측량때 푯대를 세웠음.
- 황새쟁이들 : 하동 서쪽에 있는 들로 전에는 황새가 새끼를 치고 많이 살았다고 함.
중초리(中草里)
1. 위치
면적 3.86㎢, 인구 73가구 203명(1999년말). 본읍의 서북쪽에 위치하며, 동은 산성리(山城里), 서는 노티리(老티리), 남은 장속리(獐俗里). 북은 내북면(內北面)에 접하고 있다.
2. 연혁
본래 보은군 내북면의 지역으로서, 풋개 중앙이 되므로 증풋개 증초포(中草逋), 또는 증초계(中草溪), 줄여서 중초라 하였는데 114년 행정구역 폐합에 따라 상초리(上草里), 하초리(下草里)를 병합하여 중초리라 하여 내북면에 편입되었다가, 1987년 1월 1일 행정구역 개편에 의하여 보은읍에 편입됨.
3. 자연마을
- 궁말 : 상초계 남쪽에 있는 마을로 지형이 활처럼 굽었음.
- 상초(上草, 上草溪) : 중초 위쪽 마을로 상초계라고도 함.
- 새터 : 중초 북쪽에 새로된 마을, 뒷산이 기러기가 날아가 앉는 형상이라 함.
- 쑥밭골말 : 중초계북쪽에 있는 마을. 전에는 쑥밭이 많았음.
- 아랫말(下村 : 중초학교 아래에 있는 마을
- 안터말 : 중초계 남서쪽에 있는 마을, 금계가 알을 품고 있는 형국임.
- 윗말(上村) : 옛 중초학교 뒤에 있는 마을
- 하초계(下草溪) : 중초 아래쪽에 있는 마을로 이곳을 지나야 읍내쪽 아래로 간다하여 하초계라 함.
4. 기타지명
- 가장골 : 골짜기 가장자리에 있다 하여 가장골이라 함.
- 국수봉 : 중초리 북쪽에 있는 산.
- 능구릿골 : 능구렁이가 자주 나타나는 골이라 하여 붙인 이름.
- 질마재 : 질마재라고 하는데, 상초에서 산성리로 넘어가는 고개로 해방 후, 50년대까지도 산성리에서는 중초학구가 되어이 고개를 넘어 다녀야 했다.
- 되내기골 : 상초 동북쪽에 있는 골짜기로 앞산이 쭉뻗어 있고, 그 골로 다시 들어가 되돌아간 형태의 골짜기임.
- 모래봉 : 상초 서북쪽의 산으로 모래가 많아 나무가 살지 못할 정도라 하여 모래산
- 분타골 : 중초리 남서쪽 골짜기로 보은읍 노티로 이어짐.
- 사기점골 : 상초 서북쪽의 골짜기로 전에 사기점이 있었다고 함.
- 산지당골 : 상초 동쪽의 골짜기로 전에는 절과 큰 소나무 밑에 샘이 있어 그곳에서산제를 지냈다 함.
- 새터들 : 중초리 북서쪽에 있는 들로 새로 개간했다 하여 새터.
- 성무천 : 성무상으로부터 흘러내리는 내.
- 세고개 : 중초리에서 장속노루실로 넘어가는 고개가 세 개임.
- 소빠리골 : 옛날 소를 많이 잡아 먹었다는 곳으로 소빠리가 됨.
- 실라니골 : 중초 동쪽에 있는 골짜기로 골이 길어서 ‘실나니’
- 작은제비티 : 상초에서내북면 이워리 다락골로 넘어가는 고개로 모양이 제비집 같다고 하여 ‘지베고개’라 함.
- 줄골 : 중초리 남동쪽에 있는 골짜기로 골이 줄처럼 연이어져 ‘줄골’이라 부름
- 큰제비티 : 상초에서내북면 두평리 두멍들로 넘어가는 고개.
- 텃골 : 중초리 북서쪼에 있는 골짜기로 좋은 터가 많다 하여 ‘터골’로 불리움
지산리(芝山里)
1. 위치
면적 2.39㎢, 인구 87가구 246명(1999년말). 본읍의 서쪽에 위치하며, 동은 금굴리(金掘里), 서는 수한면, 남은 삼승면(三升面), 북은 수정리(水井里)에 접함
2. 연혁
보은군 서니면(西尼面)지역으로 건지봉 밑이 되므로 지산이라 하였는데 1914년 행정구역 폐합에 따라 천곡리(泉谷里), 두지리(斗之里), 홍개리(洪介里), 개경리(開慶里)를 병합하여 지산리라 하여 보은읍에 편입되었다.
3. 자연마을
- 개경리 : 노가끔 마을이라고도 함.
- 노가금(開慶里) : 지산 동남쪽에 있는 마을, 못을 건너서 가는 마을 노성증 묘가 이곳에 있었는데, 삼승면 둔덕에 사는 황씨라는 사람이 그 묘를 파내고 자기네 묘를 그 자리에 썼다하여 ‘개경리’라고도 함.
- 두지골(斗之洞) : 노기끔 서쪽에 있는 마을로 조그만 샘이 있음.
- 샘골(泉谷) : 두지동 서남쪽에 있는 마을에 샘이 있음.
- 선학동 : 샘골 남서쪽에 있는 마을. 원지산이라고도 함.
- 수무골 : 두지골에 딸린 마을. 전에는 숲이 우거져 수목골이라고 하던 것이 변하였음.
- 홍갓들(鴻坪) : 지산 북쪽에 있는 마을로지형이 기러기 날아가는형상이라고 함.
4. 기타지명
- 감나무골 : 홍갓들 서북쪽에 있는 골짜기로 감나무가 많았음.
- 건지봉 : 원지산 서쪽에 있는 산으로 지형이 스님의 바랑망태기를 매고 있는 형이라고 또한 중상호라고 함.
- 고용골 : 두지동 동쪽에 있는 골짜기로 숲이 많고 골짜기가 길어서 ‘수목골’이라고도 함.
- 너마지기 골 : 원지산 북쪽에 있는 논으로 서마지기 밖에 없음.
- 등선바우(登仙岩) : 등선암에 있는 바위로 신선이 여기서 놀다가 승천했다 함.
- 미역골 : 원지산 서북쪽에 있는 골짜기로 한적해서 목욕하는 골이라고 함.
- 바둑바우 : 등선암에서 신선이 내려와 바둑을 두며 놀았다 함.
- 비선골 : 원지산 서북쪽에 있는 골짜기, 장군들의 비석이 많아 비석골이라 하던 것이 변한것임.
- 삭바우들 : 노가끔 서쪽에 있는 들에 삭바우가 있음.
- 서남재 : 원지산 동북쪽에 있는 산으로 사낭당이 있었음.
- 서당골 : 등선암 밑 동쪽에 있는 골짜기로 서당이 있었음.
- 서리고개 : 원지산에서 보은장으로 넘어가는 고개. 옛날에는 ‘서리사’ 라는 절이 있었는데 지금은 없어짐
- 승골 : 두지동 서쪽에 있는 골짜기로 소나무가 많았다고 함.
- 숙고개 : 원지산에서 수정리 바깥 수정으로 넘어가는 고개. 옛날 장군들이 지나다니며 쉬어간 고개
- 예주고개 : 원지산에서 홍평으로 넘어가는 고개로동리 사람들이 단술을 담아와서 먹으며, 비가오면 이곳에 와서 무지개 구경을 하였다고 함.
- 옻샘 : 숙고개 남쪽에 있는 약샘. 옻이 올라와 이곳에 와서 씻으면 낫는다고 했음.
- 장고개 : 원지산에서 보은장으로 넘어가는 고개
- 큰가끔산 : 원지산 서쪽에 있는 큰산
- 효자지(孝子池) : 지산 남쪽에 있는 못, 옛날에 백효자라는 사람이 있었는데, 재골샘에서 굴비를 구해 어머니를 봉양하였다 하여 ‘효자지’라고 부름
5. 문화유적
- 김수온부조묘(金守溫不祧廟)
지산리에 있는 영산 김씨 종증 소유의 지방유형문화재 제 60호, 좌리공신 영산부원군 김수온의 부조묘이다. 1487년 성종(成宗) 18년에 보은읍 종곡리에 창건되었던 것을 1664년 현종(顯宗) 5년 우암 송시열(宋時烈)이 현재 위치로 옮겨 세웠다. 1947년 후손 김태현(金泰鉉)이 증수하였고 1981년에는 해체하여 다시 복원하였다.
- 지산마을 노래
50여년 전부터 지어 불렀다는 노래로 2절까지였는데 1절만 전해지고 있다.
<가사>
북쪽에는 건질봉이 반공에 솟고
서쪽에는 등선바위 웅장하도다
남쪽에는 효자지의 창창한 물결
동쪽에는 속리산이 웃고 비치네.
풍취리(風吹里)
1. 위치
면적 1.12㎢, 인구 121가구 364명(1999년말), 본읍의 중심부에 위치하며 동은 누청리(樓淸里), 서는 교사리(校士里), 남은 성주리(城舟里), 북은 신함리(新含里)에 접하고 있다.
2. 연혁
본래 보은군 산내면이 지역으로서 산모롱이가 되어 바람이 세므로 바람부리 또는 풍취라 하였는데 1914년 행정구역 폐합에 따라 주지리(注之里), 산직리(山直里), 신기리(新基里)를 병합하여 풍취리라 해서 읍내면(邑內面)에 편입되었다.
3. 자연마을
- 마루뜰(斗坪) : 진설미(進船尾) 서쪽 마을로 곡식이 많이 생산됨
- 바람부리 : 풍취리중심 부락으로 산모롱이가 바람이 세기 때문에 바람부리라고 하였음.
- 은고개 : 은고개 밑에 있는 마을, 진설미에서 신함리 감동으로 넘어가는 고개로 서낭이 있었음.
- 진설미마을 : 바라부리 서북쪽에 있는 마을 동네뒷산을 배산이라 하는데, 배가 나가는 형태를 하였다 하여 붙여진 이름.
- 두평 : 마루뜰이라고도 함.
4. 기타지명
- 말무덤 : 마루뜰과 하동안이 중간에 있는 묘. 신라시대 백제군과 싸울 때 죽은 말을 묻은 곳이라고 함. 현재 논으로 변하여 없어짐
- 병목골 : 은고개 동쪽에 있는 골짜기로 목처럼 생겼다고 함.
- 산지당 : 풍취리에 있는 산제당
- 쌀개바위 : 바위가 디딜방아 쌀개 같이 생겼다고 함.
- 왁새보들 : 진설미 앞에 있는 들. 왁새보의 물을 이용하여 농사를 지었으나 오늘날 상궁 저수지 물로 걱정 없이 농사를 지을 수 있는 수리시설이 잘 되었음.
- 작은진골 : 진골 서쪽에 있는 골짜기 골짜기가 두 개 있는데 작은 것이 작은 진골임.
- 주지미(注之里) : 진설미 안쪽에 있는 골짜기로 전에는 마을이 있었다고 함.
- 진골 : 병목 동쪽에 있는 골짜기.
- 통개 모롱이 : 진설미에서 감동으로 돌아가는 모롱이, 동리 뒷산이 소가 누운 것 같은 모양을 하고 있는데 모롱이가 퉁개 같다고 하여 퉁개모롱이라고도 함.
5. 문화유적
- 풍취리고분군
풍취리에 있는 100여 개의 고분(古墳)으로 신라시대 것으로 추정됨, 삼년산성에서 북쪽 60여미터 지점에 분포된 고분은 신라군과 백제군이 전투하였고 여기에서 죽은 신라군의 장수들과 군졸들의 무덤으로 전해지고 있다. 현재 도굴되어 역사적 흔적으로는 적색 조질토기(赤色 粗質土器)와 횡광식수혈(橫壙式竪穴) 형식의 묘이다. 고분의 형식으로 보거나 출토부장품으로 미루어 삼국시대초기의 고분으로 보이며, 지리적 여건으로 보아 삼년산성과의 연관을 전혀 배제할 수 없다는 것이다.
학림리(鶴林里)
1. 위치
면적 2.51㎢, 인구 110가구 294명(1999년말), 본읍의 서북쪽에 위치하며, 동은 종곡리(鍾谷里), 서는 산성리(山城里), 남은 중동(中東), 신함리(新含里), 북은 산외면(山椳面)에 접하고 있다.
2. 연혁
본래 보은군 산내면의 지역으로서, 함림산성(含林山城) 밑이 되므로 함림이라 하였는데. 1914년 행정구역 폐합에 따라 내함림(內含林), 외함림(外含林), 율지리(栗枝里), 산외면의 대암리(大岩里)를 병합하여 학림리라 해서 보은읍에 편입되었다.
3. 자연마을
- 고무실(熊室) : 평지말 남쪽에 있는 마을로 새마을 뒤쪽이 됨. 옛날 이곳에 큰 곰이 살았다고 함.
- 대바위(大岩) : 학림 북쪽에 있는 마을. 지금은 가든 터 마을
- 밤개울 : 고무실 동쪽 마을로 큰 산 밑이 됨
- 새동네 : 새집말과 윗대바우 사이에 있었던 마을이었으나 지금은 모두가 논으로 변했음.
- 새집말 : 학림리중심이 되는 마을 1리에 살던 사람이 이곳에 새집을 짓고 살면서 마을이 형성되었기 때문에 새집말이라고 함.
- 신작로말 : 새집말 앞도로에 있는 마을. 1974년 도로 확장시 철거되고 현재 6호가 살고있으나 주유소가 생기고 가든이 생겼으며, 학림농원도 조성되었다.
- 잠실 : 새말 앞 도로 건너편에 있던 마을 터로 물레방아도 있었고, 학림역도 있었으나 지금은 논이 되었음.
- 평지말 : 새집말과 고무실 사이에 있는 마을로 벌판에 있어 평지말이라 함.
- 학림(鶴林) : 옛날에 소나무 숲이 많이 우거졌는데 그곳에 두루미가 많이 날아와 살았으나 지금은 두루미가 나타나지 않음.
4. 기타지명
- 광대마을 : 밤개울 뒤에 있는 산
- 구룡티(九龍峙) : 수철령 서북쪽에 있는 고개에 아홉 마리의 용이 놀았다고 함.
- 구조논 : 성깔 들 옆으로 경지정리시 성깔들에 흡수 되었음.
- 넘은밤개울 : 밤개울에서 고무실로 넘어가는 등성이 너머에 있는 마을터 지금도 땅을 파면 부엌자리가 나오고 있음.
- 덕고개 : 밤개울에서 종곡리 북실로 넘어가는 고개
- 무네미고개 : 새동네에서 산외면 아시리로 넘어가는 고개
- 무네미산 : 새마을 뒤쪽 산으로 봉화대가 있었다 하며, 정상에 올라가보면, 보은읍 산외면, 내북면이 눈아래 보이며, 전설에 의하면 홍수때 물이 산을 넘었다고 한다.
- 밀개산 : 세말 앞산으로 산 형체가 밀개처럼 생겼음.
- 반공충혼비 : 윗대바위 현재 대바위가든 옆에 세워진 충혼탑임. 1945-1954년 사이에 우리고장에서 공비토벌시 전몰한 김상훈 외 37명의 충혼을 기리기 위하여 1982년 8월 22일 한국반공연맹 보은지구청년회에서 세웠고 해마다 기념식 및 제를 올리고 있다.
- 북바위: 학림 동쪽 종곡리 수철령으로 넘어가는 문암산(해발 515m) 능선 길옆에 있는 바위
- 성갈들 : 평지말 앞에 있는 논으로 물을 대다가 잠깐 집에 갔다 오는 사이에 다른 사람이 자기논에 물 때문에 물꼬 옆에 있어야 한다고 해서 ‘성갈들’이라 함.
- 옥박골 : 새마을과 새집말 사이에 동쪽으로 난 골짜기
- 온천샘 : 새집말 북쪽에 있는 너덜, 옛날에는 온천이었으나 나병환자들이 몰려들어와 마을에서 메웠다고 하나 확실한 근거가 없다.
- 웃대바우 : 새집말 북쪼에 있는 너덜. 전에는 20호의 마을이었고 이곳에 옹기점이 있었으며, 한때 호황이기도하였으나 60년대 새마을 운동과 더불어 도로 확장으로 전부 이주 되었고, 지금은 논으로 변하였음.
- 윗대바위보 : 윗대바위 보청천을 막아 보를 만들었고 이 물을 이용하여 성깔래 들을 비롯하여 하동안이 들까지 물을 대어 대풍을 기약하고 있다.
- 절날맹이고개 : 밤개울에서 내속리면 북암리 샛강터로 넘어가는 고개
- 절터 : 지금의 대바위 가득 뒤에 있던 절터는 없어졌으나 암자를 지키던 선대가 돌아가시자 암자마저 없어지고 세월이 흘러 그의 후손 가운데 손녀가 스님이 되어 현재 L.A 금강사 주지 스님이 되었다.
- 함림역(含林驛) : 보은현에서 북쪽으로 십리 길 함림산성 밑에 있던 역으로 충암 김정(김정)이 순창군수로 재임할 때, 이웃 담양부사 박상(朴祥)과 더불어 중종왕후 신씨의 복위를 상소하였고, 명분에 어긋나는 상소를 하다가 이곳 보은 함림역에 유배되었다.
조선시대 대마(大馬) 2필 기마(騎馬) 3필, 복마(卜馬) 5필을 두었고, 역리 30명과 종 40명이 머물러 있었다. 청주 율봉역(栗峰驛) 찰방의 소속이었다.
- 화산(火山) : 새터말 뒤에 있는 산으로 따뜻하여 근동에서 제일 먼저 나뭇잎이 피고 따뜻하다하여 붙여진 이름
5. 전설
- 북바우
삼국시대 때 보은은 신라와 백제의 국경지대로 싸움이 잦은 고을이었다. 삼년산성을 근거지로 한 신라군과 노고성에 진을 친 백제군 사이에는 국토확장을 위해서 싸움이 잦았다. 양군은 두 산성 사이에 펼쳐진 중동들과 풍취들에서 격렬한 전투가 벌어졌고 승부를 가릴 수 없으면 제각기 본진으로 돌아가곤했다. 그때 일이다. 백제군의 지휘자는 양서(亮敍)라는 기골이장대하고 지략이 뛰어난 장군이었다. 그러나 어찌된 일인지 싸움만 하면 이상하게도 신라군에 패하기만 했다. 어느 날 장군은 새벽부터 군사를 배불리 먹이고 노고성을 나섰다. 생사를 건 일전으로 신라군을 크게 무찌르기 위해 며칠을 검토한 작전을 실행하기 위해서였다. 그 작전은 신라군을 기습하여 삼년산성을 탈취하는 것이었다. 그러나 그때백제군에 배신자가 있어 양서장군의 전략이 사전에 신라군에 알려져 백제군이 성을 나서서 새벽 안개를 뚫고 삼년산성을 향해 노도같이 달려가다 중도에서 숨어 있던 신라군에게 오히려 기습을 당했다. 양서장군이 앞장 서 군사들에게 독전했지만 사기를 잃은 백제군은 뿔뿔이 흩어져 도망하기에 바빴다. 양서장군은 어쩔 수 없이 만신창이가 된 부하 패장병을 이끌고 노고성으로 후퇴하지 않을 수 없었다. 그러나 산성 밑에 이르렀을 때 이미 산성은 신라군에게 점령되었고 장군과 백제군은 갈곳조차 없이 되었다. 양서장군은 어찌할 도리가없어 노고성에 마주 바라다 보이는 문암산(門岩山)으로 쫓겨 들어가게 되었다. 승리에 도취된 신라군들은 추격을 단념하고 만세를 부르며 노고성으로 올라가고 있었다. 양서장군은 갑자기 피곤이 왔다. 한심하기 짝이 없었다. 곰곰이 생각해보니 세상에 그토록 만사가 풀리지 않고 막히기만 하는 자신의 불운함이 억울하고 한스럽기만 했다. 그는 별안간 자리에서 벌떡 일어서며 울분을 발산할 양으로 허리에 찬 긴 칼을 뽑아 옆에 있는 커다란 바위를 향하여 힘껏 찔렀다. 칼은 자루가 있는 데까지 깊이 바위를 찔러 들어갔다. 양서장군은 그래도 울분이 풀리지 않아 그대로 10여번이나 칼을 돌려대는 바람에 바위에는 구멍이 뚫리게 되었다. 그때였다 바위 구명에서 은은하게 북소리가 들리기 시작했다. 북소리는 점점 크게 들려왔고 난데없는 북소리에 군사들은 일제히 쉬고 있던 자리에서 벌떡 일어섰다. 북소리는 끊이지 않고 들려왔다. 마치 진군을 독촉하는 듯 들리었다. 패전에 사기가 꺽였던 군사들은 북소리에 대오를 맞춰 힘차게 함성을 울리며 산을 내려가기 시작했다. 그리하여 신라군을 크게 물리치고 노고성을 탈환하였다고 한다. 그런일이 있은 후부터 이 바위를 “북바위”라 부르게 되었다는 것이며 지금도나무꾼들이 막대기나 손으루 두들기면 북소리가 들리다고 한다.